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분류 전체보기4095

[스크랩] [현대사]해방후 김일성 귀환 실상 일제로부터 광복되던 해인 1945년. 그 해 추석은 올해보다 열흘 가량 이른 9월 20일이었습니다. 광복 후 처음 맞이하는 명절이고, 또 여느 명절과는 다른 추석이고 보니 사람들의 감회도 예전과 같을 수 없었으리라는 것은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추석 하루 전날인 9월 19일 동.. 2006. 6. 19.
[스크랩] 나르시스 자아와 거울단계 --라캉의 인식체계 Ⅱ. Lacan의 인식체계 1. 나르시스 자아와 거울단계 라깡은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ngito ergo sum)'라는 사유와 존재가 일치하며 초월적 자아(transcendental ego) 개념을 상정하는 데카르트적 사유를 거부하고 주체성이란 오히려 구성되는 것이라고 한다. 그는 실제계(Real Order)-상상계(Imaginary Stage)-상징.. 2006. 6. 17.
[스크랩] 중국의 국호(國號) 이등휘 : 1991년 6월 국민당혁명실천연구원의 발언 "모택동에게 가장 유감스러운 일은 국호를 고친 것이다. 만일 그들이 여전히 중화민국이라고 불렀다면, 우리는 아주 골치아팠을 것이다" 이오(李敖) : 2004년 10월 27일 봉황위성TV <<이오유화설(李敖有話說)>> 168집 1965년, 모택동주석은 프랑스 신.. 2006. 6. 17.
[스크랩] 16강 행의 최대 고비 - 스위스 전력분석 16강 행의 최대 고비 - 스위스 월드컵 출전횟수 : 7회 (1934, 1938, 1950, 1954, 1962, 1966, 1994) 독일 윌드컵 지역예선 성적 : 4승 6무 피파랭킹 : 38위 (2006년 3월기준) 스위스는 전통적인 유럽의 강호로서 스위스하면 대표적으로 떠오르는 시계만큼이나 정밀한 팀워크로 무장된 팀이다. 세대교체에 성공한 모습을 .. 2006. 6. 14.
[스크랩] 스위스 대표팀 명단 코칭스태프 쾨비 쿤 GK (Goalkeeper) 콜토르티 베나글리오 주베르뮐러 DF (Defennder) 파트릭 뮬러 요한 주루 스퓌허 루도빅 마냥 센더로스 그리칭 필립 데겐 MF (Midfielder) 발롱 베라미 데이빗 데겐 라파엘 빅키 제마일리 사비 기각스 요한 포겔 카바네스 바네타 FW (Forward) 마우로 스텔러 프라이 야킨 2006. 6. 14.
독일월드컵프랑스대표팀 프랑스대표팀 지네딘 지단. 공격수 피에르 앙리. 전방 공격수 윌리암 갈라스. 중앙 수비수 파트릭 비에이라. 중앙 미더필더 프랑스팀 예상 포메이션 2006. 6. 14.
[스크랩] 호주_-----일본 브라질 | 크로아티아 | 호주 | 일본 [2006 월드컵 골장면 동영상] 히딩크의 조커들, 연속골 퍼레이드 호주의 히딩크 감독이 한숨을 돌렸다.. ’히딩크의 기적’ 호주 2006 월드컵예상과 우승후보 분석 호주 전력분석 2002 한일 월드컵에서 한국을 4강으로 이끌었던 거스 히딩크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이후 우.. 2006. 6. 13.
[스크랩] 독일경기장1-12 ⑥ 뉘른베르크 1928년 건축된 시립경기장을 1991년 재건축해 프랑켄슈타디온으로 명명했다. 육상트랙이 있어 베를린, 슈투트가르트와 함께 축구 전용구장이 아니다. 경기장의 경사를 낮추고 스탠드를 추가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용 가능 인원을 늘렸다. 총수용인원은 4만1926명 이며, 월드컵 땐 3만2341석.. 2006. 6. 13.
[스크랩] 월드컵 참가국 전력분석 각조 전력분석 참가국 소개 > 각조 전력분석 전체 A조 B조 C조 D조 E조 F조 G조 H조 == 국가선택 == 독일 코스타리카 폴란드 에콰도르 잉글랜드 파라과이 트리니다드토바고 스웨덴 아르헨티나 코트디부아르 세르비아몬테네그로 네덜란드 멕시코 이란 앙골라 포르투갈 이탈리아 가나 미국 체코 브라질 크.. 2006. 6. 13.
[스크랩] 중국 대학 랭킹 (2005년) 중국교우회라는 곳에서 매년 중국대학의 랭킹을 선정하여 발표하고 있네요. (www.cuaa.net) 랭킹 1위에서 600위까지 발표하고 있는데, 2005년도 랭킹 50위이내의 대학입니다. 1. 청화대학 북경 100 2. 북경대학 북경 99.87 3. 절강대학 절강성 항주 65.92 4. 복단대학 상해 62.11 5. 남경대학 강소성 남경 59.35 6. 무한대.. 2006. 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