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서양철학

[스크랩] 나르시스 자아와 거울단계 --라캉의 인식체계

by 8866 2006. 6. 17.


Ⅱ. Lacan의 인식체계

1. 나르시스 자아와 거울단계

라깡은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congito ergo sum)'라는 사유와 존재가 일치하며 초월적 자아(transcendental ego) 개념을 상정하는 데카르트적 사유를 거부하고 주체성이란 오히려 구성되는 것이라고 한다. 그는 실제계(Real Order)-상상계(Imaginary Stage)-상징계(Symbolic Order)라는 발달단계를 설정하고 이 단계를 거치는 동안 타인에 의해 그리고 언
어에 의해 주체가 형성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상상계는 이마고(imago)와 상호작용의 관계이며 상징계는 문화와 언어의 관계이며 실제계는 이미 가득찬(full) 대상과 경험의 세계다.

The Imaginary order is the domain of the Imago and relationship interaction, The
Symbolic is the sphere of culture and language, and teh Real is that which is concreate
and already 'full' - the world of objects and experiences.{{ ) Ellie, Ragland-Sullivan,
Lacan and the Subject of Language (New York: Routledge, 1991), pp. 130-31.}}

실제계는 주체의 세상에 대한 인식으로 알 수 있는 실제(reality)가 아니다. 이것은 상상계적 인지(Imaginary perception)나 상징계적 언술(Symbolic description)을 초월하는 동시에 배후에 존재한다. 발화 뒤에 남아 있는 제거할 수 없는 찌꺼기이며 상징계의 탯줄이다. 라깡은 실제계에서 언어를 분리시키고 상상계에 선행하도록 함으로서 상상계와 실제계가 만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이것은 또한 상상계와 상징계가 뫼비우스띠의 안과 밖에서 상호작용을 하는 공간이며 이 세 체계는 보로미안 매듭(Borromean knot)처럼 하나가 풀리면 세개가 다 풀리게 되는 상관관계를 갖는다. 그는 상상계와 상징계 외에 이러한 실제계를 상정함으로써 환상/현실 의 이분법적인 서구철학에서 벗어나 있게 된다.

상상계의 거울단계(Mirror stage)는 인생초기인 유아시절에 어떻게 자아(ego)가 형성되는가를 보여준다. 또한 이것은 라깡의 정신분석학과 그 기반위에 선 철학이 인간의 진리를 코지토(Cogito)로부터 출발시키는 철학에 어떻게 반대를 하고 있는 것인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의 거울단계의 개념은 프로이드의 자아 개념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프로이드는 자아에 대해 두가지 견해를 가진다. 그 첫번째가 현실 자아(realist ego)다. 이것은 이드(id)에서 현실(reality)로, 현실에서 이드 방향에 있는 필터(filter)로 기수(騎手)가 말을 제어하듯 이드를 통제하여 이드의 의지를 마치 자신의 행위인 것처럼 바꾼다.

Thus in its relation to the id, the ego is like a man on horse back, who has to hold in
check the superior strength of the horse;with this difference, that the rider tries to do so
with his own strength while the ego uses borrowed forces. the analogy may be carried
a little further. Often a rider, if he is not to be parted from his horse is obliged to
guide it where it wants to go; so, in the same way, the ego is in the habit of
fransforming the id's will into action as if it were its own.{{ ) Sigmund Freud, "The
Ego and the Id,"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 XIX), tr. & ed., James Strachey (London: Horgath Press, 1953-1974), p. 25.
이하 SE로 표기함.}}

현실 자아는 이성의 원칙(principle of reason)에 지배를 받는다. 이드의 비이성적이고 불가능한 요구를 수정하여 사회 규칙과 기준을 보호한다. 또한 자아는 외부에 있던 욕망의 대상의 부재 혹은 외부의 나쁜 비판 등으로부터 이드를 보호한다. 그래서 현실 자아는 이드와 현실이라는 두 주인을 섬기는 정신 기제(psychic agency)가 된다.

As a rational mediator, it strives to protect the organism from threats and danger from
the social; and at the same time, it strives to procure maximum satisfaction and
pleasure for the wishes of id that it also serves, while ensuring the smooth production
of social norms and values. It is an agency serving two master.{{ ) Elizabeth Grotz,
Jacques Lacan: A Feminist Introduction (New York: Routledge, 1990), p. 25.}}

정신기제 혹은 정신실체(psychic substance)로서 주어진 현실 자아는 생물학적으로 활동을 수행한다. 외부 현실로부터 주체의 감각적, 신경적 구조에 대한 충돌(impingement)에 의해 구조화되며 이 구조는 지각을 통해 이드의 표면을 수정한다. 이러한 현실 자아가 생물학적이고 선천적인 산물인 반면에 나르시스 자아(narcissistic ego)는 사회적이며 타자와의 관계속에서 발달한다. 나르시스 자아는 완전히 유동적이고, 형체가 없는 일련의 리비도 에너지가 투여된 이미지의 동일화(identification), 내면화(internalization) 과정이다.{{ ) 타인에 대한 환상, 동일화, 내면화 등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나르시스 자아가 형성되기 때문에 주체의 자아에는 타자가 존재하게 되어 주체는 분열된(split) 존재가 된다. 프로이드의 이러한 주체의 분열은 라깡에게로 이어지며 그의 인식론의 근본이 된다.}}

...the narcissistic ego is an entirely fluid, mobile, amorphous series of identifications,
internalizations of images/perceptions invested with libidinal cathexes.{{ ) Ibid., p. 28.}}

또한 나르시스 자아는 외부대상이 부재하게 되면 자기 자신에게 에너지를 투사하여 만족을 얻는다. 주체 자신의 신체 일부 혹은 그 이미지를 마치 외부 대상처럼 받아들여 에너지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 II-3 장 object a 참고.}}

The narcissistic model of the ego implies that the ego can takes itself, its own image,
parts of its own body as an 'object', and invest them as if they were external or
'other'. {{ ) Ibid., 30.}}

프로이드에게는 아이가 태어나서 엄지빨기(thumb-sucking)와 같은 분열된 신체로서 자신을 사랑하는 자기애(auto-eroticism)에서 총체적 신체(whole body)로서 자신을 사랑하는 자아가 형성되기 위해서 새로운 정신적인 어떤 것이 필요했다.

As regards the first question, I may point out that we are bound to suppose that a
unity comparable to the ego cannot exist in the individual from the start;the ego has to
be developed. The auto-erotic instincts, however, are there from the very first; so there
must be something added to auto-eroticism - a new psychical action - in order to bring
about narcissism. {{ ) S. Freud, "On Narcissism: An Introduction," SE. (Vol. XIV), pp.
76-77.}}

이 새로운 정신적인 어떤 것을 구체화한 것이 라깡의 거울단계(mirror stage)이다. 즉 타인에 대한 동일화, 내면화 등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 나르시스 자아는 라깡에게 와서는 거울단계에서의 아이의 자아 형성으로 실체화 된다.

Lacan's theory of the mirror stage can be interpreted as his attempt to fill in the
genesis of the narcissistic ego whose adult residues Freud so convincingly described.{{ )
E. Grotz, Jacques Lacan: A Feminist Introduction, p. 31.}}

거울단계에서 실체화된 나르시스 자아를 갖는 생후 6개월에서 18개월까지의 유아는 거울 앞에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즐거운 표정을 짓는다. 아이는 거울{{ ) 여기서 거울은 반드시 거울 자체일 필요는 없으며 거울처럼 자신을 반영해 주는 반사적 존재이면 된다. 거울은 나르시스적 동일시를 갖게 해주는, 나를 충만하게 채워주는 반영적 존재에 대한 은유이며 어머니와 같은 존재이다.}}에서 통합된 자신의 신체(gestalt)를 발견하고 기쁨을 느끼는 것이다.

거울 속에서의 자기 인식은 다음과 같은 3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어른과 함께 거울 앞에 선 아이는 거울에 비친 영상(reflection)과 실제(reality)를 혼동한다. 그는 영상을 잡으려 하거나 거울 뒤를 보려하며 자신의 영상과 옆에 있는 어른의 영상도 혼동한다. 두번째 단계에서 아이는 영상이 실제의 존재가 아니라는 영상의 허구성을 깨닫는다. 세번째 단계에서 아이는 영상이 이미지일 뿐만아니라 타인의 이미지와 서로 다르다는 사실도 알게되며 자신의 움직임이 거울속에 그대로 반영되는 놀이를 하면서 총체성과 희열(jubilation)을 느낀다.

거울단계에서 거울에 비친 영상을 대하는 아이의 행동양식은 다른 아이를 대하는 태도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아이는 비슷한 나이의 다른 아이들을 바라보다가 그 아이가 넘어지면 마치 자신이 넘어진 것처럼 운다. 왜냐하면 이런 전이주의(轉移主義, trasitivism)에 있는 아이에게는 자신과 타인의 구별이 없기 때문이다. 자신과 타인과의 구별이 없는 2자관계(dual relation)는 아이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도 그대로 성립된다. 아이와 어머니 사이는 아이와 거울에 비친 자신의 영상 사이의 관계에서처럼 한치의 틈도 존재하지 않는다. 생존에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하는 어머니의 품속에서 아이는 어머니를 타자가 아닌 자신과 일체인 것으로 여긴다. 거울단계는 이러한 상상적 오인(imaginary misrecognition)을 그 특징으로 한다.

아이는 거울속에서의 위의 자기인식의 3단계를 거치면서 허상과 실제의 변증법을 통하여 주체의 정체성을 기르기 시작한다. 아이는 거울단계 이전에서는 신체감각이 결여되어 있어 자신의 몸이 해체된 것{{ ) 자신의 신체가 분열되어 있다고 느끼는 환상은 아이가 인형을 갖고 놀다 머리를 자르고 눈알을 뽑고 배를 후비는 공격성(aggression)과 관계있다. 또 꿈속이나 정신분열증에 자주 나타나는 공격과 신체가 분리되는 환상, 자신이 거세되거나 잡아먹히는 공상은 조각난 자기 몸의 환상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으로 느끼지만 거울단계에서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영상에서 충만함과 통합적이고도 오점없는 정체성을 발견한다. 그러나 아이가 느끼는 총체성은 실제로 만질 수도 없는 외부 저쪽 소외된 곳에 있는 영상에서 온다. 그러므로 아이가 갖는 정체성은 근본적으로 허구적인 것이다. 아이가 갖는 총체성과 정체성은 스스로 잉태한 산물이 아니라 외부 영상과의 동일시 과정을 통해 형성된 결과물인 것이다.

The fact is that the total form of the body by which the subject anticipates in a mirage
the maturation of his power is given to him only as Gestalt, that is to say, in an
exteriority in which this form is certainly more constituent than constituted.{{ ) Jacques
Lacan, crits: A Selection tr., Alan Sheridan (New York: W. W. Norton, 1977), p. 2.}}

따라서 아이는 필연적인 자기로부터의 소외를 갖는다. 그래서 Grotz는 "나는 타인이다(The
I truly an other)" {{ ) E. Grotz, Jacques Lacan: A Feminist Introduction, p. 47.}}라고까지
말한다.

There is then a fundamental 'alienation' in this action. The infant's mastery is in the
mirror image, outside himself, while he is not really master of his movements. he only
sees his form as more or less total and unified in an external image, in a virtual,
alienated, ideal unity that cannot actually be touched. Alienation is this lack of being by
which his realization lies in another actual or imaginary space. {{ ) Bice, Benvenuto and
Roger Kenndey, The Works of Jacques Lacan. (New York: St. Martin's Press, 1986), p.
55.}}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라깡의 거울단계는 인생초기 아이의 정체성은 거울에 비친 영상을 매개로 형성된 허구적인 것임을 보여준다. 그렇게 됨으로서 데카르트 이래 코지토의 이념은 자신이 설 땅을 거의 잃어가고 포스트모더니즘적 현상의 현대 세계에서 주체는 더이상 명증한 자아로서 변혁의 주체로 서지 못하고 탈중심화(decentered)된다.

그러나 거울단계의 중요성은 비록 허구적이지만 자아감을 처음으로 갖는 단계이고 최초로 '나(I)'의 분절화이며 통일된 신체를 가진 '나'를 형성하는 때다.

The mirror-stage is the first articulation of the 'I', it preforms the I through the entry
into the imaginary which proceeds the symbolic. {{ ) Anika Lemaire, Jacques Lacan tr.,
David Macey (London & New York: Routledge & Kegan Paul, 1977), p. 177.}}

'나'{{ ) '나'는 자아로 주체(subject)가 아니다. 주체성(consciousness, subjectivity)에 가깝다. 자아는 상징기에 있는 것 - subjectivity -이 아니라 상상기의 한 측면에 있다. 자아는 주체가 상상적으로 동일시 하는 곳(subject's imaginary identification)에 존재한다.

}}는 타자를 자신처럼 오인하는 상상적 질서 안에서는 그 구성이 완결될 수 없고 언어와 문화로 이루어진 보편적 질서의 세계인 상징계로의 진입을 통한 후에야 완결된다고 라깡은 말한다. 그러나 상징계로의 진입은 희생의 댓가로 얻어진다. 모든 것이 만족되고 결핍이 없는 낙원으로서의 어머니의 가슴을 버리고 아버지의 금지(Law-of-the-Father)를 받아 들임으로써 상징계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출처 : 詩와 꿈
글쓴이 : 두레 원글보기
메모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