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상업23

조선시대 상인들의 활동지역 조선시대 상인들의 활동지역 출처: 근대적유통경제의 원형을 찾아서 2010. 1. 14.
조선시대 상업 운송도구 조선시대 상인들이 사용한 운송도구 1. 조선시대의 수상 운반수단. 사공은 머릿수대로 운임을 받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짐은 어떻게 했을까. 그림 가운데의 소쿠리 정도야 부피와 무게가 적으니 그냥 넘어가더라도 소의 경우는 따로 삯을 쳤을 것이다. 다만 그 매기는 값의 기준이 궁금해진다. 참고자.. 2010. 1. 13.
조선시대 상거래형태와 수단 조선시대 상거래형태와 수단 시대별 1. 17세기전반_동전유통의 시작 동전유통의 시작 1598년(선조 31) 4월과 1603년(동 36) 6월에 明將(명장) 楊鎬(양고)와 우의정 유영경 등이 각기 동전의 주조유통문제를 건의했으나 한갓 논의에 그쳤을 뿐 실현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말았다. 17세기 전반기에 최초로 동전.. 2010. 1. 12.
조선시대 상거래 취급 품목 조선시대 상거래 취급 품목 취급 품목 1. 가죽 1. 유피(富皮) : 가죽에서 털을 제거하고 유성(富成)한 것 2. 피혁(皮革) : 날가죽과 유피를 총칭 3. 모피(毛皮) : 털이 붙어 있는 채로 유성한 것 4. 우피 : 다른 동물의 가죽보다 질기고, 특히 한우의 가죽은 질이 좋아서 그 용도가 대단히 많았으며, 우리 나라.. 2010. 1. 12.
조선시대 개시무역開市貿易 조선시대 개시무역 개시開市 조선후기 중국, 일본 등을 상대로 정부 발행 서계書契를 가진 자가 물품을 교역하던 공식 대외교역시장 경원개시慶源開市 1646년(인조24년)공인된 청나라와의 공인국제무역시장. 1646~18882 북관개시北關開市 조선 인조仁祖이후 함경북도 회령과 경원에서 청나라와 행하던 .. 2009. 11. 13.
조선시대의 시장 조선시대의 시장 서울(한양) 뚝섬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과 광진구 자양동•노유동 일대의 지역을 가리키는 지명이다. 뚝도•살꽂이벌•전관•전교•동교 등으로 불리며 한자로는 둑도〔纛島〕라고 표기한다. 실제로 섬은 아니나 동쪽에서 흘러오는 한강이 뚝섬 지역을 둘러 서쪽으로 흐르고 북.. 2009. 11. 13.
조선시대의 상업 조선시대의 상업 17 C 초엽 17 C 초엽의 상인들 김선달 김자명 김중서 김후약 박주태 변승업 손사립 안성택 이유성 이헌상 정광재 정대민 16세기 농촌 사회에서 시장을 통해 실질적으로 매매한 예 16세기 농촌 사회에서 시장을 통해 실질적으로 매매한 예는 임진왜란 때 민간인이었던 오희문(吳希文)의 9.. 2009. 11. 13.
1905년세계상선지도 1905년세계상선지도 영문판 2009. 11. 8.
고구려의 상업 고구려의 상업 1. 고구려 건국 세력인 소서노 일족이 상업을 토대로 한 재력가이다. 2. 기록에 보면 을불(미천왕)이 재모란 사람과 압록강가에서 배를 타고 소금을 파는 행상을 한다. (이 당시 을불은 평민신분) 보통 소금같은 경우 고가자원이기 때문에 국가에서 전매제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고.. 2009. 10. 25.
조선 후기 地方 場市의 분포와 특징 - 전주․남원을 중심으로 - 高 星 鎬*1) <目 次> Ⅰ. 머 리 말 Ⅱ. 전라도 내륙 지역의 장시 분포 1. 내륙 지역의 상업권 2. 내륙 지역의 장시 분포 Ⅲ. 전라도 내륙 지역 장시권의 변동 1. 전주?남원 장시의 변화 2. 장시권 변화의 특징 Ⅳ. 맺 음 말 Ⅰ. 머 리 말 조선후기 특히 18세기에 들어서 급격한 상.. 2009.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