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서양철학

[스크랩] 해체주의자 철학자 `데리다` 뭘 남겼나

by 8866 2006. 6. 29.
해체주의자 철학자 '데리다' 뭘 남겼나 | 學文의 世界 2005/09/14 22:04
http://blog.naver.com/jinguja/80017392019

       [해체주의 철학자 데리다 뭘 남겼나] 서양 이분법에 반기 들다


문화적 차이, 다양성 등에 주목
환경·여성·인권운동에 큰 영향

지난 9일 74세로 타계한 프랑스 철학자 자크 데리다는 20세기 후반 세계 철학계의 '스타'였다. 유럽은 물론 1990년대 이후 한국 지식사회에도 그의 '해체주의'철학은 큰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높은 명성에 비해 그의 철학을 제대로 이해하기는 쉽지 않다.

20세기 말의 철학 스타=우상 파괴의 철학자, 비주류, 해체주의 철학자…. 철학계가 석학 데리다에게 붙여준 별명들이다. 하지만 조국 프랑스는 오랫동안 그를 푸대접했다. 알제리에서 태어난 그는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초등학교 입학식날 학교에서 쫓겨났다. 서구 사회제도의 '허상'을 일찍 체험한 것이다. 소르본대 교수로 취임하려다 다른 교수들의 반대로 포기하기도 했다.

그의 진가를 처음 인정한 곳은 미국 학계였다. 미국에서의 성공을 발판으로 세계적인 '철학 스타'로 자리잡았다. 80년 이후에는 뉴욕대와 UC어바인대가 매년 한달씩의 특강을 마련해 줄 정도였다.





우상 파괴=데리다가 활동을 시작한 60년대는 사상적인 전환기였다. 본격화된 냉전과 초강대국 미국의 부상 등 새로운 현상들이 범벅된 혼돈의 시기에 데리다는 서구의 전통적인 인식.실천 체계를 철저히 해체하고자 했다. 강력한 변수로 등장한 학생운동과 마르크스주의 철학조차 거부했다. '해체'를 위해 그는 유럽의 비주류 철학에 주목했다. 플라톤주의를 극복하자고 외친 니체, 형이상학은 끝났다고 주장한 하이데거의 문제의식을 이어받았다. 헤겔 변증법의 해체 전략을 배웠고, 후설에게서 철학적 엄밀성에 대해 한 수 지도받았다.

이를 통해 그는 문화적 다양성과 '차이'를 파고들어 주목할 만한 지적 성과를 거두었다. 탈식민주의.페미니즘.인권.환경운동 등이 그의 성과에 영향을 받았다.

'차이'에 기초한 연대=데리다는 종종 하버마스와 비견된다. 두 사람 모두 "사회주의 붕괴 이후 지금만큼 폭력.불평등.차별.기아가 난무하는 시대는 없었다"고 본다. 최근에는 미국의 '테러와의 전쟁'을 한목소리로 혹독하게 비판했다. 하지만 해결책에 대해서는 생각이 다르다.

하버마스는 대화와 이성적 설득을 통해 연대하고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그에게는 대화의 토대인 '공공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반면 데리다는 개인의 주체성과 차이에 대한 철저한 성찰 없이는 연대도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철학자 리처드 로티(스탠퍼드대)는 "데리다가 탁월한 개인주의 철학자라면 하버마스는 탁월한 공공의 철학자"라고 평가했다.

◆"한국에는 안 맞는다" 반론도=한국에 데리다가 소개되기 시작한 것은 90년대 초반. 사회주의 붕괴 이후 지식인들이 새로운 사고의 틀을 찾던 시점이었다. 데리다의 해체주의는 '자본주의는 물론 사회주의 역시 서양식 이성중심주의에서 나온 만큼 두 체제 모두 미래의 대안이 될 수 없다'는 메시지를 던져주었다. 나아가 문화적 다양성과 차이를 새롭게 인식하게 함으로써 환경.인권.여성.문화운동의 이론적 동력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외환위기 후에는 사정이 달라졌다. "우리 사회는 아직도 근대적 질서가 제대로 자리잡지 못했으므로 근대를 해체하고 넘어서자는 주장은 정당성을 갖기 힘들다"는 주장이 힘을 얻은 것이다. 서구와는 상황이 다른데도 해체주의를 너무 기계적으로 수용해 현실성을 잃었다는 비판이다.

김창호 학술전문기자 <
wjsans@joongang.co.kr>
출처 : 두이노의 悲歌
글쓴이 : 다리우스 원글보기
메모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