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한국사172

[스크랩] [원광大]한국사 역사부도 한국사 역사부도 신석기시대 신석기유적 고조선 고조선 강역도 1 고조선 강역도 2 삼국시대 삼국 원삼국지도 삼국시대 영토 삼국시대 도읍지 삼국의 불교 문화재 삼국의 불교전래 삼국문화의 일본전파 나·당전쟁과 신라통일 고구려 백제의 부흥운동 1 고구려 백제의 부흥운동 2 삼국의 신앙 삼국의 .. 2006. 9. 27.
[스크랩] 세종실록지리지상에 있는 《단군고기(檀君古記)》상의 단군기록 (출처: http://hkh336.egloos.com/674161#none) 世宗 地理志 / 平安道/ 평양부(平壤府) 《檀君古記》 云: 上帝 桓因 有庶子, 名 雄 , 意欲下化人間, 受天三印, 降 太白山 神檀樹下, 是爲 檀雄 天王 。 令孫女飮藥成人身, 與檀樹神婚而生男, 名 檀君 , 立國號曰 朝鮮 。 朝鮮 、 尸羅 、 高禮 、南北 沃沮 、東北 扶餘 .. 2006. 9. 23.
[스크랩] [역사부도]고구려지도 및 내용. 예전에 배웠었던 책을 찾아보게되었네요... 역사부도..^^;; 일본 식민지를 거치면서 고구려 역사.. 즉 대한민국 역사가 축소되었다고 인터넷 검색에서 보았는데요.. 축소되었다는 것이 사실이라면.. 음...; 바른역사를 제대로 가르쳐야 중국과 일본이 역사왜곡을 못할것 같습니다... 2006. 9. 21.
[스크랩] 제 19대 광개토대왕 광개토왕은 고국양왕의 장남으로 375년에 태어났다. 이름은 담덕(談德)인데 중국측 기록에는 안(安)이라 전하고 있다. 고국양왕 재위 3년인 386년 태자에 책봉되었고 391년 고국양왕이 죽자 고구려 19대왕으로 등극하였다. 재위기간 동안에는 영락(永樂)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2006. 9. 20.
[스크랩] 고대사 관련 모음 사이트 소개 http://wondreams.hihome.com/temasogo.htm 테마별 小考 ㄱ : 가야사 ㅣ 한국에서 발견된 갑골문자 ㅣ가림토문자 ㅣ고조선의 종족구성 l 광개토왕비문이 우리에게 전해 주는 고구려사 l 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碑 ㅣ고대사 용어 ㅣ풍운아 궁예 l 고려의 동북쪽 국경선 ㅣ 기장군의 역사 ㅣ고구려 역사 l 고구려.. 2006. 8. 7.
[스크랩] 70년대의 청계천.. -2 기도 답십리 판자촌 비닐 움막집 살곶이다리부근에서 만난소녀 송정동전농배수펌프장(철거전) 송정동제방 우물가의 모녀 웃고있는 동심 이발소가 있는 판자촌 풍경 재활용 우산 만들기 철교아래 토굴 청계천 하류 송정동 판자촌 전경 청계천 활빈교회 쳔변의 아이들 판자촌 판자촌 판자촌 판자촌 판.. 2006. 7. 19.
[스크랩] 1946~1948년경의 북한의 모습... // ㅋ △ 무용수 최승희(1911~69·타계 추정)씨가 월북한 뒤 1948년 평양에 세운 최승희무용연구 소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는 모습.미국 메릴랜드 국립문서보관소가 광복 직후의 북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및 포스터 자료들을 공개했다. 국사편찬위원회 요청으로 공개한 이 자료들엔 무용수 최승희(1911~69·타계.. 2006. 7. 19.
동북항일연군은 마적단이었다는 충격적인 주장 동북항일연군은 마적단이었다? 아래에 http://study21.org/column/kbs/ask01.htm 사이트에 올려진 충격적인 내용을 발췌한다. 악의와 독설로 가득찬 내용에 소름이 돋을 지경이다. 우리 민족이 왜 세계유일의 분단국가가 되었는지 그 이유를 깨닫게 해주는 글이라서 그만큼 시사하는 바가 크다. 동북항일연군은 .. 2006. 7. 18.
박헌영 모스크바체류시절 박헌영과 주세죽 딸 박비비안나 모스크바체류시절 박헌영과 주세죽 모스크바동방대학 앞줄 오른쪽 두번째 김단야, 세번째 박헌영, 가운데 오른쪽 세번째 주세죽 모스크바방문중인 김일성과 박헌영 10대들로 조직된 김일성경호부대 2006. 7. 14.
[스크랩] [김단야-박헌영을 찾아서1] `트로이카`의 등장 프레시안에서 연재중인 글입니다. [김단야-박헌영을 찾아서1] '트로이카'의 등장 김철수, 김단야, 김산 등 사회주의 계열의 독립운동가 47명이 광복 60돌 만에 유공자로 추서됐다. 반세기가 넘는 분단과 이념 대립 속에서 이들은 철저하게 잊혀진 존재였다. 님 웨일스의 <아리랑>(동녘) 등으로 비교.. 2006.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