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주거문화

중국 고대건축사

by 8866 2009. 8. 3.

 

중국 고대 건축사 
中國 古代 建築史


서론


1. 자연조건이 중국의 고대건축에 미친 영향

 

중국인 다양한 자연조건 속에서 지형에 적절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풍격의 건축을 창조하였다.


■ 황하중류일대

두텁고 비옥한 황토층 - 신석기 후기에 정착하여 농업을 발전시킴으로써 중국고대문화의 요람이 되었다.

따뜻하고 습윤한 기후 - 풍부한 목재가 중국건축의 주된 재료로 사용

북방의 가옥 - 강한 추위를 막기 위해 남향을 취하여 햇볕이 손쉽게 실내에 들어 올 수 있었으며, 온돌과 비교적  두터운 외벽 및 지붕을 사용하여 외관이 중후하고 장엄하였다.


■ 온난 다습한 남쪽지방

남향이나 남동향을 취함

간란식 구조 사용 - 공기를 유통시켜 습기를 적게 함

건축재료 - 나무, 벽돌, 석재, 대나무, 갈대

벽의 두께는 얇고, 창문이 많이 달려 있어, 건축풍격은 시원스럽고 경쾌함


■ 석재가 풍부한 산간지방

석괴(石塊), 석조(石條), 석판(石板)을 이용하여 가옥을 지음


■ 삼림지역

정간식(井幹式)의 벽체를 사용

들짐승의 습격 막기 위해 간락식의 구조를 채용한 예도 있음


2. 중국고대 건축발전의 몇 단계


■ 구석기- 천연동굴과 절벽을 이용한 거처

■ 신석기- 진흙과 목구조를 사용한 간단한 혈거와 지면 위의 가옥으로 발전시켜 하나의 부락까지도 형성


■ 상대(商代)- 비교적 성숙된 항토 기술(?土技術)

후기에는 규모가 상당히 큰 궁성과 능묘를 건조


■ 서주 이후 춘추시대- 통치계층들은 많은 궁실들을 중심으로 도시들을 세웠고 항토를 이용하여 성벽을 축조

목구조는 계속 개선되어 중국건축의 주요한 구조방식이 됨

* 봉건제도가 발전함에 따라 건축에도 등급제도 출현

관리기술을 전문업으로 하는 사공(司空)이 생김

⇒이러한 기초 위에서 각 시대는 중국 특유의 공관제도를 발전시킴


■ 전국시대- 영주(領主) 중심의 경제가 되면서 농공업, 상업, 문화의 발전이 촉진됨

도시가 과거에 비하여 커짐

고대건축(高臺建築)이 보다 발달

벽돌과 채화(彩畵) 출현

〈고공기(考工記)〉- 가장 초기의 공정기술(工程技術)에 관한 전문서적

춘추전국시기의 중요한 건축제도를 상당수 반영

예) 왕궁의 계획사상, 판축(板築), 도로(道路), 문(門),장(墻) 궁실 내부의 표준척도


■ 진(秦)- 중앙집권의 전제 왕조를 건립

전례 없는 대규모의 궁전과 능묘, 만리장성, 치도(馳道), 수리 사업 등을 진행


■ 한대 +- 서한- 고대건축이 여전히 성행

+- 동한- 건축에서 많은 발전이 보임

두공이 대량으로 사용

목구조의 누각(樓閣)이 날로 증가

벽돌과 석조의 건축도 발전하기 시작.

특히 전석건축(塼石建築)은 비교적 커다란 발전을 보임

⇒ 한대에는 이미 중국고대 건축의 독특한 구조체계가 기본적으로 완성


■ 양진 남북조- 새로운 발전

북위의 수도인 낙양의 도성배치 계획

불교건축이 대량으로 건설: 거대한 사원과 탑, 석굴, 조각, 벽화 ⇒ 중국에 존재하던 건축예술의 기초 위에 외부의 영향을 어느 정도 흡수하여 창조해 낸 성과


■ 수대- 남북의 대운하 개척하여 관통

내륙 연안의 도시들이 번영

대흥성(大興城) 세밀한 계획에 의거하여 건설: 이전 시대의 도성수준을 훨씬 초월함

 

■ 당대

-장안은 대흥성의 기초 위에서 계속 경영되어 당시 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도시를 이룸

-지금까지 남아 있는 당시의 건물들은 배치나 조형적으로 볼 때 모두 비교적 높은 예술적 수준과 기술적

수준을 지님

-조소와 벽화 특히 뛰어남


■ 송

- 국제무역과 국내의 상업이 활발

- 중간등급의 도시 숫자가 과거에 비하여 상당히 증대

- 북송의 국도 동경은 상업과 수공업의 발전으로 한 대 이래로 역대의 도성이 채용 하였던 폐쇄적인 이방 제도(里坊制度)가 만당시기 이후 철폐되고 길가에 점포가 늘어서는 형식으로 바뀜

- 궁전과 사묘등의 건축군은 배치에 있어서 약간의 새로운 수법들이 등장

- 예술적인 형상은 온화하고 부드러움을 추구

- 장식, 채화, 가구(家具)는 이미 기본적인 정형이 개변되어 실내배치에도 새로운 장이 열림

- 나무, 벽돌, 석조의 새로운 발전

- 재(材)로서 표준을 삼는 모수제(模數制)가 제정되었고 목구조 건축의 시공과 설계로 하여금 일정한 수준 의 규격화에 이르게 함

- <영조법식(營造法式)> : 12세기초에 편찬

⇒ 송대는 중국의 전통건축이 비교적 커다란 전환을 일으킨 시기로써 뒤를 이은 원·명·청의 건축에 모두 큰 영향을 줌


■ 원

- 원대의 국도는 대부분이 한족의 전통적인 도성배치에 의거하여 건설되기 시작했으나 각 민족의 문화교류 와 더불어 라마교와 이슬람교의 건축예술이 점차적으로 전국각지에 영향을 줌

- 중앙 지역 각 민족의 공장들도 공예미술을 위하여 많은 외래 요소를 가지고 옴으로써 한족 출신의 공장들로 하여금 송, 금의 전통 위에서 창조된 궁전, 사원, 탑, 조각 등의 새로운 방향을 보이게 함


■ 명

- 벽돌을 만드는 수공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규모가 방대한 장성과 남북의 이경, 중도, 편성에도 모두 벽돌을 사양하여 성곽을 쌓음. 또한 민가 건축도 벽돌과 기와를 많이 사용.

- 관식건축 : 완전히 정형화, 정식화되어 건축장식은 자질구레하고 번잡해졌으나 일부 건축은 배치와 형 상의 변화가 풍부하였음

- 민가건축 : 수량과 유형은 전에 비하여 비교적 많아졌고 수준도 높아지고 각 민족의 건축에도 발전이 있 었음

- 황가원림과 사가원림은 전통의 기초 위에서 새로운 수법이 많이 창조

⇒ 명대와 청대의 건축은 한·당·송대의 건축을 들지만 중국 전통건축의 발전에 있어서

마지막 절정기였다.


■ 청

- 전제정치제도를 더욱 엄밀하게 실시하였으나, 근대 사회의 기운은 명대 후기에 이미 싹트기 시작하였음

 

3. 중국 고대 건축의 특징


1-1. 결구(結構)


■ 목가구


1. 대량식 목가구 : 춘추시대에 완성

- 등급제도로 인하여 궁전과 사묘 및 기타 고급건축의 기둥과 내외 첨차의 방위에서만 두공의 설치가 허 락됨

- 두공은 구조와 장식의 이중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은 고대의 장사(匠司)들은 발견

-두공의 층수로 건축물의 등급을 정하는 표준의 하나로 삼음

-공의 높이를 이용하여 양방비례(梁枋比例)의 기준척도로 삼음

-훗날 장사들은 이런 종류의 기준척도를 진보 발달시켜 주도 면밀한 모수제(模數制)가 되게 함 : <영조 법식>의 재(材)

-두공은 고대 중국의 비교적 고급 건축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됨

2. 천두식 목가구

-비교적 작은 기둥과 천을 사용하여 상당히 큰 가구를 조성

-한대에 이미 상당히 성숙하여 지금까지도 전해지며, 중국 남부지방의 여러 성에서 보편적으로 채용되 어 오고 있으니, 건물의 양끝 산면(山面)에는 천두식을 사용하고 중앙 칸에는 모두 대량식을 사용한 혼 합구조법을 쓰는 경우도 있음


3. 정간식 목가구

-목재를 층층히 쌓아서 건물의 벽체를 구성

-상대후기의 능침에서 이미 정간식의 목곽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 상대 이전에 탄생

-정간식 구조의 건물은 땅위에 직접 세울 수도 있고, 또한 천두식 가구처럼 간란식 목구조위에도 세울 수 도 있음


4. 밀양평정

-서장, 신강등의 지역에서 사용


■ 고대 목구조의 장점

첫째, 하중을 받치고 구조를 보호하는 분업(分業)이 명확

둘째, 여러 가지 기후조건에 쉽게 적응

세째, 지진의 피해를 감소시킴

네째, 재료의 공급이 비교적 수월


■ 기와

-주대 초기에 기와 생산

-전국시기에 질량이 높은 청전, 청와가 생산되기 시작

-6세기 후반에는 북위의 궁전에서 이미 유리와를 사용


한대 이래로 형제가 미려하고 조각이 정교한 묘, 궐, 탑, 당, 교량등의 석조건축이 지어짐

7세기초 수대에 건조된 조현(趙縣)의 안제교(安濟橋)는 세계최초로 창견식(敞肩式) 공교결구(拱橋結構)를

창 조한 것


1-2. 조군배치(組群配置)

칸(間)을 단위로 하여 단좌건축(單座建築)을 구성하고, 다시 단좌건축으로 정원(庭園)을 조성하며, 더 나아가서는 정원을 단위로 각종 형식의 조군(組群)을 조성하였다.

-상대의 궁실에서는 이미 주망(柱網)을 만들어 시행, 당시에 이미 칸의 개념이 생겨난 듯

-단좌건축의 평면배치에서는 상당부분이 사용자의 정치적 지위, 경제상황과 가능방면의 요구에 의하여 결정됨

-중국고대건축의 정원과 조군의 배치는 균형대칭의 방식을 채택하였고, 종축선과 횡축선을 따라서 설계를 진행

-정원의 배치

삼합원(三合院), 사합원(四合院)

낭원(廊院)- 후기에는 낭무(廊?)를 많이 채용하고 갈 수f록 감소됨

-하나의 정원이 수요를 만족하지 못하면 종종 횡방향, 종방향, 혹은 종횡의 두 방향으로 확장이 되는 방식을 채용하여, 각종의 조군건축을 구성


3-3 예술형상


(1) 단좌건축

전체적인 형태에서부터 각 부분의 부재에 이르기까지 목구조의 조합과 각 부재의 형상 및 재료자체의 질감 등을 이용하여 예술적 가공을 함으로써 건측의 기능, 결구와 예술상의 통일을 이루었다.


(2) 조군건축의 예술적 처리

-조군건축의 예술적 처리는 조군의 성질과 규모의 대소에 따라서 각종의 다른 방식을 탄생시킴

-다수의 궁전과 단묘건축은 각종의 부속건축으로서 주체건축을 돋보이게 함- 궐

-불사의 경우 주요 정원 안에서 탑이 중심이 됨- 요대에 이르기 까지 통용되나, 당, 북송의 불사는 종종 2,3 층의 고대전각을 이용하여 대칭의 원칙에 의거하여, 조군의 중심을 구성함


(3) 중국고대 건축의 색채

-춘추시기부터 부단히 발전하여 대체로 명대에 이르러 하나의 완전한 수법을 총괄

-춘추전국시기의 궁전건축은 강렬한 원색을 사용하기 시작

-남방에서는 가옥의 색채가 건축등급제도로 인하여 제한되었으며, 또 다른 방면에서는 자연환경과 서로 조화 를 이루기 위하여 대부분 백색의 담과 회와(灰瓦), 흑(黑), 묵록(墨綠)등 색의 양가(梁架), 기등, 장수 (裝修)를 사용하여 수려하고 우아하며 담백한 격조를 형성


3-4. 원림

-중국고대 원림은 통치계급이 거주하고 유람하는 이 중의 목적하에 발전되기 시작

-자연풍취는 설계 시에 대자연의 풍경을 소재로 개괄(槪括)하고 다듬어 원(院)에서 각종의 이상적인 의경(意境) 을 창조

-명ㆍ청대에 조원예술을 논한 저작 <원야(園冶)> 출현

-중국고대 원임의 배치는 유람관상 이외에 거주용으로도 제공

-원림의 풍경 배치는 사람들이 원림속을 유람하는 과정에서 동(動)과 정(靜)이 서로 결합하도록 하는 요구하에서 설 계된 것


3-5. 도시

-국가의 출현과 더불어 나타난 도시는 궁실로서 주체를 삼고 관서와 생산활동에 관계가 있는 건축 및 성원(城垣), 호구등의 방어시설들이 부가된다. 중국의 역대 도성들은 모두가 이러한 요구에 적응하면서 축조되기 시작하였다.

-춘추전국시대 사이의 도성은 이미 궁궐로서 주체를 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당히 정체된 배치를 가짐

-한대 장안성 유지 가도의 넓이가 <고공기>에서 기술한 수레폭을 표준으로 삼았음이 발굴을 통해 증명됨

-여리로서 단위를 삼은 한 대 장안의 거주구도 전국시대의 사람이 보충 정리한 <관자(管子)>와 <묵자(墨子)>에도

보임

-중국고대 각 지역의 도시건설은 수많은 인지제의(因地制宜)의 배치방식을 창조


3-6. 공관제도(工官制度)

-<영조법식(영조법식)>의 편저와 같은 것이 공관제도의 산물

-"공(工)"이라는 단어는 상대 갑골문 복사에서 보임- 이는 당시 공장을 관리하는 관리임

-<주관(周官)> <좌전(左傳)>-주왕(周王)과 제후가 영조작업을 장악하고 있는 사공(司空)을 설치하여 관리하였다는 기록

-각 시대는 이 제도를 따랐고 중앙정부의 기구 내에도 장작감(將作監), 소부(少府), 공부(工府)를 설치

-공관의 직무- 건축공정의 설계를 관장, 공정 및 시공조직을 관리하고 평가, 주요 건축재료의 징발과 구입, 제도의

책임을 짐

 

제1장 원시 사회 시기의 건축 유적


1.원시인들의 거주지

 

■ 산동 - 중국원인은 구석기 시대의 인류로 약 50만년 전 북경의 주구점에서 삶.

이들은 몇 십명이 하나의 무리로 조성된 원시인 집단으로 주구점 부근의 용골산 동측의 천연 동굴 즉, 산동에서 장기간 거주하였다. 따라서 산동은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초기 유적의 하나이 다.

■ 동혈유지 - 하남의 안양과 광동의 양춘 등지에서는 구석기시대말기의 동혈유지가 발견 되었다. 인공동굴.

 

2. 앙소문화의 건축유적

 

앙소문화 - 신석기 시대 황하중류의 비옥한 황토지대에서 번영했던 모계씨족사회의 문화

농업생산의 발달에 따른 정주생활의 시작으로 가옥과 취락이 출현


■ 취락의 배치 - 하천의 양쪽 비교적 높고 평탄한 곳에 위치. 중앙에 공공장소 일 것으로 보여지는 건물 유지가 있고 씨족의 공동창고인 교혈, 방위용으로 여겨지는 호구, 공동묘지 등이 있다. 이러한 취락의 배치는 씨족사회의 사회구조를 반영하고 있다.


■ 건물의 구조 - 방형과 원형이 있음. 석기를 사용하여 나무재료를 가공하여 만듦.

방형의 경우 4개의 큰 기둥과 33개의 작은 나무기둥으로 경사진 벽체를 지지하여 세움. 벽체는 편직과 배찰의 방법을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경사진 지붕의 양 측면으로 환기가 되도록 되어 있다. 내부는 지면보다 약 50-80cm정도 낮게 되어 있다. 원형주거일 경우 기둥과 기둥 사이를 편직방법을 이용하여 원형의 벽체를 구성한 다음 원추형의 지붕을 만들고 그 위에 내부기둥으로 지지하는 양면 경사로 된작은 지붕을 또 올 렸다. 내부는 초니토 위에 석회질을 이용하여 견고하고 매끈한 거주면을 만들었는데 이러 한 사실들은 당시 건축이 부단히 개선되고 있는 단계임을 설명하여 준다.

 

3. 용산문화의 건축유적


■ 용산문화 - 황하 중, 하류지구의 모계씨족사회가 부계씨족공동체의 시기로 진입하게 되었을 때의 문화. 빈부의 차별이 생겼으며 취락의 분포가 광범위하게 밀집되어 있다.


1. 건물의 변화 - 대다수가 원형평면의 반지혈식 건물이고, 실내에는 백회면으로 된 거주지면을 가지게 되었다. 방형의 유지도 발견되나 폭은 3-4m 정도로 대다수 건물면적은 축소되어 있어 서 대체로 일부 일처제로 된 개체의 소가정 요구에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여자형(呂字形)의 반지혈식 건물이 있는데 이러한 쌍칸의 집은 내실은 원형 이고, 외실은 방형으로 만들거나, 내외 두개의 실을 모두 방형으로 만들기도 한다.


2. 제도(制陶)의 발달 - 앙소문화 시기에는 일용도기를 굽는 요장이 대부분 거주구의 외측에 집중되어 전 체 씨족이 공용하였으나 용산문화 시기에는 개인의 주방옆에 도기를 굽는 화당 이 있으며 화당이 깊고 크다. 제도기술도 발달되어 강도가 큰 회도(灰陶)와 검고 빛나는 단호도(蛋壺陶)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 황하, 중·하류를 제외한 지역의 문화 - 장강 하류 신석기 시대 말기 주거유지로 두 종류의 방식 이 있다. 평탄한 언덕 위에 위치한 경우 토질이 대부분 점토로 배수가 늦고, 함수량이 크므로 지면 위에 와붕식 의 주방을 지었으며 주거지의 평면은 원형과 방형이 있 다. 담벽과 지붕은 식물을 이용하여 짠 골가 위에 이층을 덮었다.

다른 한 종류는 평원 혹은 호박과 하류 부근에 위치하며 지세가 낮고 지하수위가 비교적 높은 지점으로 건물의 하 부에 종종 가공의 결구를 채용하였고 밀집되게 박은 말뚝 위에 장방형, 혹은 타원형 평면의 집를 짓기도 하였다.


■ 강서 청강 영반리에서 출토된 도기위의 건축형상

마루가 길고 처마가 짧은 계단형의 지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지붕은 한대의 동기와 일본, 월남, 말레이반 도 및 남양군도 등지의 건축에서 보인다. 따라서 중국 남부와 이 부근지역들과의 문화교류를 생각해 볼 수 있 다.


■ 중국의 거석건축유적

산동반도 북부와 요동반도 등지의 각 현에 석붕(고인돌을 말함)이 있고, 이 석붕은 분묘일 가능성이 있다.

한국의 북부에 있는 석붕과도 연관이 있다.

 

제2장 하ㆍ상ㆍ서주ㆍ춘추시기의 건축(B.C.21세기-B.C.476년)


1. 하-중국 노예제도 국가의 탄생

 

-중국 황하유역의 씨족사회 말기에는 이미 재산의 사유제가 싹틈

-용산문화 묘장의 부장품에서 빈부의 불균형 현상이 보여짐

-기원전 21세기에 중국 역사상 최초의 왕조인 하(夏)가 건립- 노예제 국가의 탄생

-하왕조- 동기사용, 규칙적으로 토기 사용, 하도(河道)를 정비하고 홍수를 방지, 구혁(溝?)을 파고 관개(灌漑)를 함

성곽구지(城郭溝池)를 수건, 군대조직, 형법 제정, 감옥건설, 귀족의 이익을 보호, 궁실대사(宮室臺?) 수축


2. 상대의 궁실과 건축

 

-상왕조는 상당한 수준의 문화를 지닌 하나의 노예국가를 건립

-청도기 사용, 상대 후기에 이르러 동기의 수공업이 발달- 형제가 정미롭고 화문(花紋)이 세밀하며 중후

-중국에서 가장 일찍 알려진 상형문자 사용- "택(宅)", "궁(宮)", "고(高)", "향(享)", "경(京)", "종(宗)", "혼 (?)", "저(貯)"등의 견축 관계 글자들→당시 건물하부의 지면 위에는 대기(臺基)를 만들었고, 어떤 것은 간란식 의 결구를 사용하였음

-성숙한 단계의 항토기술 사용- 황하유역의 발달한 경제와 펀리한 황토를 이용하여 건물의 대기와 벽체를 만듦

-중국봉건시대의 궁실이 자주 이용한 전전후침(前殿後寢)과 종심(縱深)의 대칭식 배치방법은 노예제의 상대후기 궁실에서 이미 약간의 원초적인 형태를 갖춤

-건축공구- 청동제의 부(斧), 착(鑿), 찬(鑽), 산(?), 거(鋸)

-은대의 능묘안의 조각과 목료(木料)위의 부조- 당시 궁실내부의 진설이 상당히 화려하였음을 알게 해주고

건축물에도 어떤 조각이 있었을 가능성

-당시의 건물은 양주(梁柱)를 사용하는 구조방법 이외에, 정간식 구조벽체도 있었음

-상대 조각의 특징- 대부분 세밀한 화문이 위주로 된 고부조의 주요 장식문양에 의존

운문(雲紋), 뇌문(雷紋), 도철문(?畝紋), 선문(蟬紋), 원권문(圓圈紋)등

화문의 제재는 상대 사람들의 미신사상과 서로 관련, 또는 씨족 휘장의 잔재일 가능성


3. 서주와 춘추시대의 건축

 

-서주는 이미 소수의 철기가 있었고, 춘추시대에는 철공구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 공정기술도 커다란 진보

-<고공기>는 주대의 도성제도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라고 여겨짐

-<좌전(左傳)>과 한대 초기의 <예기(禮記)>- 주대 궁실의 외부에 방어의 정령을 반포하는 궐이 있었음을 기술

-춘추시대는 빈번한 전쟁으로 항토를 이용한 토축성(土築城)은 중요한 국방공정(國防工程)이 됨- <좌전>에 의하면 축성공정은 사도(司徒)의 양도하에 주도 면밀한 계획에 의거하여 작업이 이루어짐

-송대 이래의 많은 학자들이 <의례>에 기록된 예절에 의거하여 춘추시대의 사대부주택을 연구

-서주의 청동기 중에는 종종 당시 건축의 국부적인 형상을 반영

-서주시대에 이미 판와(板瓦), 통와(筒瓦), 인자형 단면의 척와(脊瓦), 원주형의 와정(瓦釘)이 출현 : 와의 사용은 동주의 춘추시기에 이르러 비로서 점차 보편화

-건축의 색채 : <논어>에 기재된 "산절조열(山節藻열)"과 <예기>의 <춘추곡량전주소>에기재된 "기등을 채색함에 있어서, 천자는 붉은 색을, 제후는 검은 색을, 대부는 푸른색을, 선비는 황색을 칠하였다."

→ 이미 대량식의 목구조 건축에 채화를 하였고, 건축 색채에도 엄격한 등급제도가 있었음

-춘추시대에는 유명한 건축장사(建築匠師) 노반(魯班)이 출현

 

제3장 전국ㆍ진ㆍ양한ㆍ 삼국시기의 건축(B.C 475년 - A.D 280년)


1. 전국에서 삼국시기 사회의 변동과 건축개황


■ 전국시대

-춘추시대 말기 중국의 조예사회는 봉건사회로 전환되기 시작하였고, 전국시대에 진입하였고 중국의 봉건제도는 점차 확립

-철제공구가 보편적으로 응용되어, 사회의 분업이 확대되고, 상업과 도시경제가 모두 번영하기 시작하고, 학술상에 서는 선비계층 지식인들의 백가쟁명(百家爭鳴)으로 발전을 가져옴

-대도시 출현, 대규모의 궁실과 고대건축(高臺建築)의 흥건 및 와(瓦)의 발전과 전(塼)이 출현

-진시황 26년(기원전 221년), 중국역사상 최초의 중앙집권적 봉건대제국을 건립


■ 진

-군현 설치, 문자와 율령, 도량형과 마차의 궤적을 통일, 치도(馳道)를 수축, 만리장성 축조

-수도 함양에 대규모의 거대한 궁원건축을 지음 →당시 각종의 서로 다른 건축형식과 기술경험으로 하여금 처음으로 융합, 발전하게 함


■ 양한

-서역을 거쳐 중서무역의 왕래와 문화교류의 통로를 개척

-봉건경제는 진일보 공고해지고, 상공업은 발전하여 도시의 번영을 촉진

-대지주와 대상인 출현

-한무제는 유술(儒術)을 숭상하여, 예제를 확립함으로써, 황권을 공고히 함

-건축은 "사방에 위엄을 떨친다(威四海)"는 정신통치의 관념 →도성규모는 더욱광대하 고, 궁전원유는 더욱 거 대해지고 화려해짐

-예제사상(制思想)- 도성과 궁전예제 건축의 배치 및 건축의 등급제도에 커다란 영향을 줌

-유가(儒家)의 "신종추원(愼終追遠)"사상 : 상대이래의 잔통적인 후장제도(厚葬制度)를 강화하여, 능묘의 규모가 더욱 거대해짐

-유가와 음양오행 등의 미신이 결합한 참위설(讖緯說)- 서한 말년에 유향하기 시작하여 사람들의 생활과 건축에 모두 영향

-공정기술에 있어서 동한 건축의 평면과 외관은 날로 복잡해지고, 고대건축은 날로 감소하여 누각건축이 점차 증가

-조직화된 두공이 대량으로 사용

-목조건축의 결구방법 : 대량식, 천두식, 정간식

-전석구조기술(塼石構造技術)이 신속히 발전하는 단계

 

 

■ 동한 말기부터 삼국시기

동한 말기부터 삼국시기에 이르기까지의 건축은 216년 조조가 건설한 업성와 이루 위(魏)의 문제가 영건 한 낙양궁전에서 약간의 새로운 발전이 있었다.


2. 도시의 발전


■ 춘추시대 이전의 도시

주왕과 제후가 정치, 경제, 군사통치를 실행하는 핵심이며, 도시안에 있던 수공업은 주로 통치계급을 위하여 봉 사를 함. 상업이 발달하지 않아 도시의 규모가 모두 작다.

■ 춘추말기 ∼ 전국시기 중엽

-봉건토지 소유제의 확립과 수공업, 상업의 발전이 나타나고, 도시는 날로 변영하여 규모도 날로 확대됨

-빈발하는 전쟁으로 각 도시는 모두 견고한 성벽을 축조- 예) 전국시기 연국(燕國)의 하도(下都)와 월국(越 國)의 한단(邯鄲)


■ 한 대

-한대에는 수공업과 상업이 진일보 발전하여, 적지 않은 신흥도시가 출현

-장안 : 서한의 수도로 당시 중국의 정치, 문화, 상업의 중심

상, 주대 이래로 규모가 가장 큰 도시

<고공기>에 실린 수레바퀴의 표준으로 정한 가도의 폭의 원칙과 서로 부합


■ 전국시기∼삼국에 이르기까지 궁실로서 주체를 삼는 도성계획의 특징

첫째, 수도의 선택

둘째, 궁실이 중심이 된 남북축선의 배치

세째, 집중된 시장- <고공기>의 기록에 의거하면, 전국시기 각국의 도성은 이미 집중된시장을 가지고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음

네째, 여리- <관자>, <묵자>에 의하면 춘추에서 전국까지의 시기에는 전국 도성에 이미 여리를 단위로 하는 거주방식이 있었음


3. 진ㆍ한ㆍ삼국의 궁실

 

이 시기의 궁실과 원유는 남아 있는 것이 없으며, 풍부한 문헌기록에서 대체적인 면모와 성과를 서술하고 있다.

-시황 35년에 진시황은 조궁(朝宮)을 흥건- 조궁의 전전(前殿)이 아방궁(阿房宮)

현재 아방궁은 단지 장방형의 항축토대만이 남아 있음

-서한 초기에는 단지 미앙궁과 장락궁, 북궁을 수축하였고, 한무제에 이르러 비로서 궁원 이 지어짐

-삼국시대 위의 문제는 낙양에 원래 동한 궁전의 옛터 위에 신궁을 영건- 배치에 있어서 전전 내에 동서상을 설치하는 한 대의 방법을 따름


4. 주택

 

■ 규모가 비교적 작은 주택

-방형 혹은 장방형의 평면

-대다수는 목구조결구를 채용

-벽은 항토를 이용하여 축조

-창의 형식- 방형, 횡장방형, 원형등 여러 종류

-지붕은 대부분 현산식(山式)의 지붕, 혹은 둔형의 지붕

-모두 담으로써 원락(院落)을 구성


■ 규모가 아주 큰 주택- 사천(四川)에서 출토된 화상전에 보임


가구- 전국시기에서부터 삼국에 이르기까지는 바닥에 앉았기 때문에 궤(?), 안(案), 의가(衣架), 잠을 자 는 상(床)등의 가구의 높이가 모두 높았다.


5. 능묘

 

-상과 서주의 묘장(墓葬)이 흙을 쌓아 분(墳)을 삼았는 지의 여부는 고증 할 수 없다.

-섬서 임도의 여산에 있는 진시황릉 : 3층의 방형항토대가 쌓여서 이루어짐. 중국역사상 체형이 가장 큰 능묘

-서한은 진의 제도를 계승하여 대규모의 능묘를 지음 : 분의 형상은 진의 제도를 계승하여 만들고 그 상부를 잘라내어 방상(方上)이라고 불렀음

-한대의 귀족관료들의 분묘도 대부분 방추평정(方錐平頂)의 방식을 채용

-동한 시기의 묘 앞에는 돌로 만든 묘표를 세움

-전국시기의 묘 : 여전히 상, 주 이래의 목곽묘와 심장제도(深葬制度)를 계승

하남일대에 공심전묘 출현

일반 평민들은 간단한 토갱장(土坑葬)을 이용

-서한 초기 : 목곽묘가 여전히 광범위하게 사용

공심전 묘장방면에 응용

전구조에 아주 커다란 발전

-전묘(塼墓), 애묘(涯墓), 석묘(石墓)의 발전으로 상, 주 이래 장기간 사용된 목곽묘는 점차 감소

-한대말부터 삼국시기에 이르러서 목곽묘는 거의 소실


6. 진의 만리장성과 한의 장성

 

장성은 전국시기에 시작되었다. 진은 중국을 통일한 후 서쪽의 감숙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는 요동에 이르는 대규모의 장성을 지었다. 길이는 3천여킬로미터에 달하였다. 서한은 서역으로 통하는 하서주랑을 보호하기 위하여, 진의 장성을 수리하는 이외에, 양단의 장성을 추가로 건설하였다.

축성공정은 인지제의 (因地制宜), 취재축조(就材築造)의 방법을 채용하였다. 황토의 고원일부에서는 토판축(土 版築)이나 토격(土擊)을 사용하였다.

7. 건축의 재료, 기술과 예술

■ 재료와 기술


1. 전(塼)

-전국시기 : 청와를 대량으로 사용. 와당위의 장식문양은 서주 시기에 비하여 진보.

-전국말기 : 도제(陶制)의 난간전(欄干塼)과 배수관(排水管)이 출현하기 시작

전의 종류: 조전(條塼), 방전(方塼), 공심전(空心塼)

-전국, 한 대에 이르면서 묘실의 결구는 양식이 공심전에서 정부(頂部)에 공전과 궁륭을 사용하는 것으로 점차 발전 →목곽묘가 해결할 수 없는 방부(防腐), 내압(內壓)의 문제를 해결

-석재의 사용 점차 증가


2. 목조구조의 결구방식

-춘추시대 : 이미 중루(重樓)와 고대건축(高臺建築)이 지어짐

-전국시대 : 동기위에 2,3층의 건물을 조각한 것이 약간 있음

-서한시기에 고대건축은 여전히 대량으로 증가하였지만 동한에서부터 점차 감소, 다층의 누각이 대량으로 증 가하였고 이때의 누각건축은 각층이 모두 독립적인 결구단원(結構單元)임

-중국건축 특유의 두공(枓拱)은 서주 초년에서부터 전국시대에 이르기까지의 시기에 만들어진 약간의 동기 장식도안 가운데 기둥 위에 노두가 있음을 중명할 수 있음

-한대에 이르러 두공은 서한의 문헌에서는 보이지 않고 석궐, 애묘, 명기, 화상석위에 있는 건축에서 보임. 이시기의 두공은 옥첨을 받치는 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평좌(平坐)를 받치기도 함

-한대에 목조결구로 형성된 5가지 형식의 지붕- 무전(?殿), 현산(山), 둔정(둔정), 찬첨(瑕尖), 헐산 (歇山)

-전국시대의 목곽에는 이미 각종의 정교한 맞츰이 있었음

-항토도 광범위하게 사용됨


■ 건축장식

문헌상에는 진과 양한 시기에 이미 동(銅)으로 두공과 난간, 지붕 위에 올려지는 봉황을 만들었으며, 금(金) 이나 옥(玉), 비취(翡翠), 명주(明珠), 금수(錦繡)등의 귀중한 재료로 실내를 장식했다는 기록이 있다.

■ 건축예술


-전국, 진, 한 대 건축의 평면조합과 외관은 비록 대다수가 대칭의 방식을 채용하였으나, 중심축 부분의 중요성 을 강조하였다. 건축기능과 예술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풍부하고 대채로우며, 다양한 풍격을 형성하였 다.

첫째, 상대후기의 궁실에서 이미 보이는 종심(縱深)의 정원배치방식

둘째, 규모가 작고 낮은 차등의 건물과 종횡으로 얽히고 섞인 지붕 및 문, 창위에 있는 우탑(雨塔)등이 중앙의 주요부분을 돋보이게 하며, 전체적인 조군으로 하여금 주종과 변화가 풍부한 윤곽이 있게 하는 것

셋째, 명기 가운데 3, 4층에 달하는 방형의 누각과 망루들- 각 층에는 두공을 사용하여 요첨(腰?)을지지 하고, 그 위에는 평좌(平坐)를 올려 놓으므로써 누각을 여러 층으로 나눈다.

-한대 조군건축의 또다른 특징은 춘추시기 이래의 전통을 발전시킨 점

-동한과 삼국시기에는 두공이 이미 상당히 성숙한 단계까지 발전하였으며, 사용범위가 상당히 광범위 하였음

-지붕의 형식과 각종의 와건(瓦件)을 이용하여 만든 장식적인 작용은 중국고대 건축의 두드러진 특징을 이룸 : 동한과 삼국의 각종 유물

-문과 창도 모두 장식부분으로 이용되어, 예술적 처리를 하였음

-색채 : 춘추전국이래의 전통을 계승하여 발전시킴

-한대의 건축은 이미 회화, 조각, 문자 등 각종 부재의 장식을 종합적으로 운용하여, 결구와 장식의 유기적인

조합에 이르게 되어, 이후 중국고대건축의 전통적인 수법의 하나를 이루었음

 

제4장 양진ㆍ남북조시기의 건축(265∼589년)


1. 양진ㆍ남북조시기 사회의 변동과 건축개황


■ 사회 변동

-현학사상이 발전하기 시작, 정치와 사회 혼란으로 천당(天堂), 낙천(樂天)의 불교가 선양되어 널리 퍼짐

-도교형성, 발전

-사상의 영역에서는 유, 불, 도가 상호투쟁하고 융합 →문학과 예술의 발전을 크게 추진

-16국과 북조의 통치자들은 대다수가 중국 서북부의 유목민족이며, 한족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흡수


■ 건축

-한족의 도시계획과 결구체계, 건축현상을 따름

-도시의 건설은 각 민족 건축형식의 융합을 촉진시킴

-이시기의 건축은 궁전, 주택, 원림 등이 계속적으로 발전하는 이외에 또 일종의 새로운 건축형식이 출현- 불교 와 도교의 건축 →사탑보급, 석굴개착

-결국, 양진ㆍ남북조 시기의 장공(匠工)은 진, 한 건축의 성과를 계승하는 기초 위에서, 인도, 간다라, 서역지 방 불교예술의 요소를 약간 흡수하여, 중국건축을 퐁부하게 하였고, 이후 수ㆍ당대건축의 발전에 기초를 다짐


2. 도성 및 궁전

 

■ 업

-16국 시기의 후월은 4세기초 조위(曹魏)의 구성곽 배치를 연용하여, 업성을 새로 짓기 시작. 궁전도 조위 낙양궁성의 배치를 따름

-동위의 궁전배치는 조위의 낙양궁전의 구제도를 연용하는 동시에 <예기>기재된 "삼조(三朝)의 배치사상을 끌어다 씀 : 수ㆍ당 양대에 이르러 동서당을 폐기하고, 완전히 삼조의 제도를 채용하게 하는 계발 작용 을 함


■ 낙양(落陽)

-삼국시대 조위의 도성인 낙양은 동한의 옛 계획에 의거하여, 남북의 두 궁을 지음

-북위의 낙양은 궁성과 도성의 이중성벽이 있었고, 도성은 즉 한위 낙양의 고성(古城)으로 동서 7리(약 3100m), 남북 9리(약 4000m)이다.

-궁성은 기본적으로 조위 시대의 북궁의 위치와 일치


■ 건강(建康)

-317동진이 도음으로 정하면서부터 589년에 진이 망할 때까지, 중국남부에 위치한 건강은 각 시대의 도성이 었다 .

-궁전의 배치는 대체로 위진의 구제도를 따름


양진ㆍ남북조 시대의 도시는 동한의 낙양과 한대 말기 업성의 계획을 계성하여 발전시킨 것이다. 궁전의 배치는 전전(前殿)의 동서상(東西廂)을 동서(東西堂)으로 발전시켰다. 동위에 이르러서는 삼조제도(三朝制度)의 사상을 끌어다 썼다. 동서의 횡렬로 3전이 있는 이외에 또 정전이 주가 되는 종렬 두 조(組)의 궁전이 있었다. 이러한 정렬방식은 이후, 수ㆍ당ㆍ송ㆍ명ㆍ청대 등에도 연용이 되었고 종렬 삼조의 제도로 발전하였다. 이 시기 낙양과 업의 거주구는 한대 장안의 여리제도(閭里制度)을 연용하였다.


3. 주택

 

-북위와 동위 시기의 귀족주택 정문은 종종 무전식 지붕과 치미를 사용

-당시 적지 않은 귀족 관료가 집을 절로 삼음

-당시 치미는 원래 궁전에 사용하던 것으로, 주택의 경우에는 특별히 허가를 받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었다.

-죽막(竹幕)이나 장막(帳幕)을 사용

-위진 이래로, 일부 사대부들은 풍류를 모방하였고, 일종의 비교적 소박한 자연의 의경(意境)을 창조하려고 하였다. - 당시의 원림과 원유에 대하여 일정한 영향을 줌

-이 시기는 민족의 대융합으로 실내 가구에 약간의 변화가 발생- 석좌(席坐)의 습속이 바뀌지 않았고, 전통가구에 적지 않은 새로운 발전이 생김

-새로운 가구는 당시 사람들의 거주습관과 실내공간의 처리에 일정한 영향을 주므로써, 당대이후, 점차 상탑(床榻)과 석지(席地)는 폐지되고 이러한 새로운 형식의 가구가 앉는 습관의 전주(前奏)가 됨

 

4. 사원과 탑

 

-불교 전래- 서한 후기

-가장 초기의 기록상에 보이는 불사- 동한 영평10년(永平十年:67년)낙양의 백마사(白馬寺)

-동한시기에 인도양식의 부도사(浮圖寺)- 누각식목탑의 맹아

-삼국을 거쳐 양진ㆍ나묵조 시기에 이르러 통치계급의 제창으로 불사가 점진적으로 흥건되어, 당시 사회의 중요 건축활 동의 하나가 됨

-당시의 전과, 탑, 석굴은 대부분 국가가 주관하여 수건함으로써, 무수한 인력과 물력을 사용

-북위시대의 저작인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 당시 낙양에 있던 40여개소의 중요한 불사를 기록 예)영녕사- 북위 희평원년(516년) 호령태후(胡靈太后)가 지음

-동진 초기에 불사에는 이미 쌍탑의 형식이 출현

-불사 배치 방법

첫째, 방형평면의 각면에 문을 열고 중앙에 주체건축을 짓는 방법은 인도의 불사로부터 계시를 받은 동시에 한대 이래로 전해온 예제건축을 결합하여 발전시킨 것

둘째, 부제(府第)와 주택의 건축형식이 불교건축에 융합- 불사 안에 수많은 누각과 화목

⇒ 외래의 불교건축이 중국에 들오온 이후, 아주 빠른 속도로 전통적인 민족형식에 융합되어, 중국불교 건축의 형식을 창조해낸 것임

-전국각지에서 많은 탑이 지어짐

-인도에서는 초기에 불교건축 중 전통적인 원형의 소사묘(小寺廟)를 이용하여, 내부에는 스투파를 안장하고 예배와 공 양의 중심으로 삼아 지제(支制)라고 하였다. 이러한 종류의 지제는 아쇼카왕조 말기에 발전하여 전방후원(前方後 園)의 종장평면(縱長平面), 혹은 전후 2실로 발전되어 주도(走道)로서 연결되었다.

-중국의 탑은 비록 여전히 사리를 안장하였으나 탑의 기능, 결구와 형식은 중국전통건축과 결합하여 중국누각식 목탑을 창조


4-1 목구조의 누각식탑

-목조누각식탑은 동한 말기에 보임

-남북조시기 : 목구조로 된 누각식탑의 수량이 가장 많고, 당시 탑의 주류를 이룸.

예) 낙양의 영녕사탑이 대표적

각 층의 요첨 위에는 평좌를 두지 않았음

현존하는 일본 비조시기의 목탑비례와 대체로 접근

-북의 중기에 목탑의 양식을 모방한 석탑이 출현 : 당대이후, 누각식 전탑의 발전에 일정한 영향을 줌


4-2 전(塼)으로 만든 밀첨식 탑

-한남 등봉현 숭악사탑 : 북위정광4년(523년)에 건조된 중국에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탑이며 유일하게 12각형 의 평면을 갖는 탑이다.

외부 색채는 원래 백색: 당시 전탑이 가지고 있던 하나의 특징


5. 석굴의 건축과 조각

 

-석굴사의 개념은 인도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불교의 전래와 동시에 출현

-중국에서 산애(山崖)를 깍아 내어 건축수법으로 처리한 것은 , 한대의 애묘에서부터 시작 된 것으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남북조시대에 절벽을 패내서 졸을 조성하는 풍습이 전국에 보급

5-1 초기의 석굴

운강 제16호에서 20호굴까지의 5개 대굴- 굴 안의 주상은 매우 크고, 굴정 및 멱면에는 건축적인 처리를 하지 않았 다. 굴 밖에는 목구조의 전랑이 있는 동시에 수량에 있어서도 가장 적은 종류의 하나

 

5-2 5대 석굴인 운강 제 5 석굴에서 8굴

방형의 평면을 채용하였고, 규모가 비교적 크다. 전후의 2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석굴내부에는 임 건축적인 처리를 하였고, 조사의 부조도 새로운 방식을 창조하였다.


5-3 세기말엽에 만든 운강 제 9굴과 제 10굴


6. 능묘

 

-남조의 능묘는 강소성 남경시와 요녕, 구용, 단양등의 현에 분포

-어떤 능묘에도 분(墳)은 존재하지 않고, 아직까지 고고학적인 발굴을 하지 않았다.

-남경의 서선교(西善橋)에 있는 묘 : 묘의 규모와 장식조각으로 미루어 남조 말기 귀족의 분묘일 가능성

-현존하는 남조의 능묘는 대부분 묘궐(墓闕)이 없고, 신도(神道)의 양측에는 날개가 달린 석수(石獸)를 설치

-묘표는 진한이래의 형제(形第)를 계승한 것


7. 건축의 재료, 기술과 예술


■ 건축 재료

양진·남북조 시기 건축재료의 발전은 주로 전와(塼瓦)의 양산(量産)과 질량의 향상, 금속재료의 운용에 있 다. 금속재료는 주로 장식용으로 사용되었다.


■ 기술

목탑이 대량으로 건조되어 목결구기술의 수준을 보여준다. 이 시기 두공의 결구성은 진일보 발전하여, 이미 2개 의 화공(華?)을 사용하여 돌출한 첨을 지지한다.

-한 대에는 대부분 지하묘실에 전결구(塼結構)를 사용, 북위시기에 이르러서 전결구는 이미 지면 위에서 대규모로 운용 : 숭악사탑은 전결구기술의 거대한 진보를 보여줌

-석공시술은 남북조 시기에 이르러 아주 높은 수준에 도달

-궁전, 사묘, 대형주택의 조합(組合)에 있어서 회랑이 일시 성향

-대기(臺基)의 외측에 이미 전으로 쌓은 산수(散水)가 있었다.

-주초- 복분과 연판의 두 가지 새로운 형식이 출현

-사주(梭柱)가 출현

-두공의 형제와 권살 및 그 예술효과는 많은 석굴에서 명확하고 두드러지게 표현

-동진의 벽화와 비각에서 옥각(屋角)이 올라간 새로운 형식이 출현

-실내에는 대부분 복두형(覆斗形)의 조정(藻井)을 사용

-북조의 석굴은 후세에 풍부한 건축장식 화문을 남김

-연화는 남북조 불교건축에서 가장 자주 보이는 장식제재의 하나

-개괄적으로, 현존하는 북조의 건축과 장식의 풍격은 처음에는 건장하고, 거칠며, 여전히 유치하나 북위말년 이 후, 웅휘하고 교묘, 화려하며, 강경하고 부드러운 경향으로 바뀜.

그러나 남조의 유물은 이미 6세기에 수려하고 유려한 특징을 갖춤

 

 

제 5 장. 수 당 오 시기의 건축 (581-960)


1. 수 당 오 시기 사회의 변동과 建築개황


■ 수 당의 사회

중국 봉건시기의 최고봉

중국 고대 건축의 성숙기

외래건축 흡수, 융화 - 완전한 건축체제 형성


■ 수의 건축현황

1. 문제(文帝) 시대

■ 당대 건축

- 낙양 영건

- 대운하 건설 (항주 -탁군(지금의 북경시)까지 3500㎞)

- 안제교 : 세계최초 창견권(敞肩券 : 아치형식)

1. 장안, 낙양명건 - 대규모 궁전, 관서, 사찰, 원림, 도관건립

2. 불교 크게발전 - 불교사원, 탑, 석굴

3. 능묘 - 건릉만 현존함

4. 주택 :

통치계급 - 화려하고 아름다운 주택, 원림지음

엄격한 등급제도 - 문과창의 크기, 칸수, 층수, 장식, 색채, 규제

5. 건축기술

목조구조 발달 - 材로써 목조구조 설계기준 삼음

- 부재의 비례형식 정형화

- 먹줄치고 도면 그리며, 시공전문인 도료장(都料匠) 출현

건축재료: 나무, 흙, 대나무, 벽돌, 기와

- 유리기술 발달

일본에 영향줌


2. 수 당의 도성과 궁궐


2-1. 장안(長安)

- 수 당의 수도

·경제, 文化의 中心

·규모 면에서 당시 세계최대


■ 대흥성 (=장안성[그림76참조])

1. 규모 및 특징

- 동서 9721m × 남북 8751.7m

- 성벽두께 12m

- 방정대칭(方整對稱)원칙

- 남북축 : 궁성, 황성배치

- 바둑판형태 도로 : 108개 이방(異方)

- 분구명확, 가도(街道)가 정제 : 봉건통치자의 이상과 요구가 충분히 구현됨


2. 그 구성 : 제일 북측 중부(中部)에 위치.

- 북측 중부에 위치

- 남쪽 : 황성배치, 황성좌우에 東市, 西市


2-1-1. 황성과 궁성 그리고 궁전


■ 황성 : 수 당의 군정기구(軍政機構)와 종묘의 소재지

1. 규모

·동서2820.3m × 남북 1843.6m

·太 , 太社, 6개의 성(省), 9개 사(寺), 1개 대(臺), 4개 감(監), 18개 위(衛)


■ 궁성;

- 규모 및 위치

·남북 1492.1m × 동서 2820.3m

·황성의 북쪽에 위치

·중앙 : 태극궁 - 황제가 정사(政事)관장. 성 전체의 중심축

·서쪽 : 액정궁

·동쪽 : 동궁 - 태자 거주

1. 대명궁

- 평면 : 불규칙한 장방형

- 3조(組)의 궁정 : 대조 - 함원전(그림78)

일조 - 선정전

상조 - 자신전

- 전각 : 황제와 황후가 거주. 연회 즐기던 내정(內廷)이다.

- 태액지(太液池)연못안에 봉래산을 세움

- 함원전 : 대명국의 정전

형 평면 : 중국 봉건사회의 전성시기에 보여지는 웅대하고 휘황한 품격 표현(그림79-1.2)


2-1-2. 가도(街道)


■ 특징 및 규모

- 교통이 편리하고 정제된 질서

- 성문으로 통하는 도로폭 : 120 - 150m 로 넓다.

- 노면 : 3/27 - 배수위해 중앙부가 높고

2m × 2m × 2m 정도의 수구(水構)가 있다.


2-1-3. 이방(異坊)

- 여리건축(閭里建築)계승 : 주민통재위해

- 야간통금제도 실시

- 평면 : 방형(동서 520m × 남북 510-560m)

- 이방주위엔 향토담

- 권문세가, 귀족, 제택(第宅)및 사원 : 방의 외측 또는 도로에 면한부분에 위치

- 일반주민 주택 : 제택과 사원사이 혹은 그후면


2-1-4. 시장

- 수공업, 상업점포 등을 시장안에 집중시킴 : 중국 고대 토성계획의 특징

- 동서 두 개의 시 : 동시 - 120여종류 각종상점

서시 - 폭 16m도로, 1m폭의 인도

- 외국상점 있음; 당시 국제무역 집결지역

- 면적 : 1㎢

- 특징 : 담으로 둘려 싸이고 사방에 문 설치


2-2. 낙양(洛陽)

- 수 당대의 동도(東都)(당시 동성의 이경제도(二京制度)에 따라 낙양은 동도 이었음

- 9세기말 장안에서 낙양으로 수도를 옮김

- 규모 : 남북 7312m × 동서 7290m

- 평면 : 정방형

- 낙수가 서에서 동으로 관통하여 낙양을 남북으로 구분


*. 장안과 차이점 및 유사점

배치특징 : 자연지형을 적당히 이용하였기에 장안처럼 대립배치가 아님

황성과 궁성을 중심축이 아닌 북구의 서부에 배치

전체적 계획은 방정(方正)과 정제(整齊)추구


- 103개의 이방 : 북구의 동부와 남구의 전체분포

- 시장 : 낙수(洛水)의 수운으로 번성함


3. 주택

 

- 회장을 이용하여 정원 조성 (그림82-1)

- 향촌주택 : 회장을 이용않고 건물로 둘러싸는 사합원 구성(그림82-2)

- 평면배치 : 축선중심의 좌우대칭배치


■ 귀족광원

- 남부조 시기 전통계승 ; 못을 파고 산을 조성

- 경치 좋은곳에 별서(別墅)영건

■ 가구(家具) (그림- 83)

- 상(床) 하부에 호문(壺門)장식

- 각종 장식공예 가구에 운용

-상(床) : 장탁(長卓), 장등(長燈), 요원등, 부수의, 고배의, 원의(圓椅)….

- 대형 연회장소 : 많은사람이 열을 지어 앉을수 잇는 장탁, 장등 출현

- 가구양식 : 간명, 소박, 크고 네모짐

- 원형단면 부재 - 적절한 실용성, 선이 부드럽고 매끄럽다.


4. 사원, 탑, 석굴


■ 불교건축

- 국가와 민간이 대량의 재력과 인력투입 : 수량 많고 분포 넓다.

- 평면배치 : 전당문랑(殿堂問郞)이 정원(庭園)의 단원을 조성하는

조군형식(組群形式)

- 건축, 조각, 소상, 회화가 서로 결합


1. 남선사 정전 (그림85-2.3.4)

- 산간지역 작은 불전

- 정면, 측면 3칸


2. 불광사 (그림86-1)

- 오대산 십대사(十大寺)중 하나

- 서향으로 축선은 동-서

- 평면 : 지형에 맞추어 3개의 평대(平臺)로 처리

구조와 예술의 일치

간단한 평면에 풍부한 공간예술 창조

외관 : 입면이 각칸 비례 - 방형(그림86-8)

치솟음, 안쏠림이 있다.


■ 탑

- 조군의 중심에 일치하지 않았다.

- 높은탑 : 불교사찰의 조군(組群)과 도시윤곽의 면모에 작용

- 목탑 : 현존하지 않음

- 3가지 유형의 전탑 : 누각식탑

밀첨탑

단층탑

- 평면 : 대개 장방형

- 형식 : 목탑의 형식 모방

- 다층탑 : 아래와 위가 통하는 공통(空筒)으로 쌓았다.

- 위로 갈수록 축소되고 맨 위층은 복개

- 내부 : 목루판(木樓板)을 이용하여 층을 나눔


1. 흥교사 현장탑(669년)(그림87-1,2)

- 고승 현장화상의 묘탑

- 평면 : 방형 5층규모 (약21m)

- 각층 처마 : 벽돌로 만든 두공있음

- 누각식 전탑중 가장 오래됨

- 형태가 단촐하나 세련된 작품임


2. 향적사탑(그림88-1-2)

- 평면 : 방형(9.5m)

- 동서북 삼면에 권형(券形)의 감(龕)이 있다.

- 1층에 방실(方室)이 있음

- 목조누각 건축은 모방함.

3. 정장선 사탑(746년)

- 팔각형 평면 : 현존 전탑중 가장 오래됨 (그림94-3)

- 목구조 형식 모방

- 모서리에는 5각, 8각의 의주 노출

- 기둥위에 액방, 두공, 인자형의 보간포작을 쌓음


4. 명혜대사탑(877년) (그림95-1,2)

- 당대의 아름다운 단층 방형 석탑

- 탑신위에 천신(天神)과 문창(門窓)이 조각

- 내부 : 평암천정(平闇天井)

- 탑신위에 석조로 옥정을 덜움

- 조각이 정교하고 비례가 적당함.

■ 석굴사

- 석굴화 풍속은 남북조 거쳐 수 당에 이르러 최고봉

- 석굴 공덕주 : 제왕, 귀족, 평민등 다양

- 규모 및 형식 : 높이17m 큰 불상을 안치할수 있는 대굴에서 20-30㎝의 작은 부조석상 까지 있다.

- 석굴의 형태변천

·수 - 중심기둥 有

·당 - 중심축은 사용않음

초당(初唐) : 전후 2개의 실, 전실 : 사람활동 후실 : 불상모시는곳

당이후 : 단일의 대청당(大廳堂)


5. 능묘


- 제왕능묘: 지형이용

- 산(山)-분묘삼음

- 평면배치 : 산릉주위에 방형의 능장(陵墻)설치하고 사방에 문 설치

- 문밖- 석사자

- 네모통이 -각루

- 신도(神道)- 경사따라 남쪽으로 향함

- 신도 양측에 문궐, 사람, 짐승 조각상


■ 건릉 (그림 98-3, 4)

- 고종과 황후 무칙천 합장

- 양산의 천연지형 이용

- 신도 양측- 화포,

- 비마(飛馬),주작,석마(石馬)5쌍,석인(石人)10쌍,비석1쌍.

- 능안-원래 200여칸의 방,현존하지 않음.


■ 영태공주묘.(그림99-1,2,3,4)

- 규모: 바닥 55m*55m,높이 11.3m의 계단식 함토대

- 묘실: 전후 2개의 묘실

주요 묘실: 후실임-양벽에 용,호랑이,궐후, 의장대

궁륭-천상도:전통적 방법임.

■ 흠릉(그림-100)

-. 평면:전,중,후 3개의 주실-각실 좌측에 측실

- 규모: 전체길이 22m

전.중실-벽돌

후실-석조

- 묘실:목구조양식모방-기둥,방,공

벽면-진한 붉은칠

꼭대기-천상도


■ 영릉(918년) (그림-101-1)

a. 외형 : 반구형 흙더미, 높이 14m, 직경 80m

b. 묘실 : 전, 중, 후-석조

c. 구성 : - 묘실 양쪽 옆 벽주위에 반원형 권(券)만듬

- 권위에 석판 깔음

- 지면-석판

- 사방벽 - 붉은색 칠

- 천정 - 천청색(天靑色)칠


6. 안제교(그림 102-1)

 

- 중국 남북교통의 중요 간선도로 효하( 河)위에 위치

- 장사 이춘 책임하에 건조(605∼617년)

- 규모:길이 37.37m , 높이 7.23m

- 세계 최고의 창견교(아치교)

- 교량은 중량을 줄이고 재료를 절약하기 위해 이러한 구조 사용

 

7. 건축의 재료, 기술과 예술


■ 건축재료

1. 土, 石, 塼, 와(瓦), 유리, 석회, 목재,대나무, 동, 철, 광물안료

2. 벽돌(塼 )

- 전묘

- 전탑 - 사각, 육각, 팔각, 원형, 목구조 양식을 모방한 전탑

- 궁전에는 화전(花塼 )을 바닥에 깔음


3. 돌(石 )

- 탑, 묘, 건축구조에 사용

- 석각예술: 석굴, 비, 석상

- 석재면 위에 도색, 첩금


4. 기와

- 회와(灰瓦) : 일반건축용

- 흑와(黑瓦) : 재질긴밀, 광책입힌 뒤 궁전, 사물에 사용

- 유리와(琉璃瓦) 녹색, 감색


5. 지붕

- 겹친기와 옥척, 치문

- 와당-연판도안

- 나무기와에 칠한것도 있음.


6. 금속재료

- 동,철

- 탑, 당, 기념주, 조상

- 낙양의 8각형 천주(天樞) -높이 31.5m,직경 3.6m


7. 조군 건축

- 대칭식 정원배치

- 중앙의 정원이 면적이 가장 큼

- 정전 - 대부분 정원의 뒤편에 위치

- 좌.우 날개에 회랑

- 누각: 주랑의 모퉁이 또는 정원의 양측에 위치

- 주종의 구별이 분명

- 고처가 들쑥날쑥 - 변화가 풍부한 윤곽

- 건축의 장식, 색채-화렬


8. 지붕형식

- 중요 건축술 : 무전정( 殿頂) 사용

- 극히 중요 건축술 : 중첨 사용

- 조군건축에서는 서로 다른 형식의 옥정 사용 - 건물의 주종 분명히 함


9. 문양

- 화려하고 풍만한 장식 도모

- 화문(花紋), 회문(回紋), 연주문, 유소문, 화염문(火炎紋), 비선


결론적으로 당대의 도시배치와 건축풍격은 규모가 웅대하고 분위기가 웅휘하며 격조가 높고 정돈되어 있으면서도 딱딱하지 않다. 도성, 궁전, 능묘, 사묘와 같은 건축 이외에도 전국 각지의 도시에 있는 아서 또한 그러하다. 이것은 중국건축 역사가 이시기에 이르러 새로운 발전이 있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당대의 건축예술은 남북조 시기의 성과를 바탕으로 건축과 조각장식이 진일보하고 융화되어 통일과 조화의 풍격을 창조함으로써 휘황찬란한 업적을 이루었다.

 

제6장 송·요·금시기의 건축(960 ∼ 1279년)


1.송·요·금시기 사회의 변동과 건축개황


■ 북송(960 ∼ 1127)

- 정치, 사회적 의식형태 소극적

- 도교

- 불교 침체

- 음양오행, 풍수지리 유행

- 유학 ; 성리설

- 중소지주, 일반 시민생활 반영한 문학, 예술작품 출현

- 수공업과 상업의 발전 ; 里坊制度, 夜禁制度 타파

- 중국건축의 새로운 절정기 ; 수려, 화려, 변화 풍부

殿閣樓臺 출현

琉璃瓦, 조각화문, 채화

- 건축재료의 다양화, 건축기술의 세밀, 정교

- <목경>, <영조법식>


■ 남송(1127 ∼ 1279)

- 건축풍격의 진일보 발전 ; 정교, 수려

- 원림건축 ; 강남의 자연환경과 밀접


■ 요(947 ∼ 1125)

- 도성, 궁실, 불사 ; 한족 건축 모방, 한족 工匠 이용

- 불교 숭상 ; 독락사 관음각과 산문, 화엄사 박가교장전과 선화사 대웅보전,

불궁사 석가탑

■ 금(1115 ∼ 1234)

- 한인 工匠 이용 ; 송, 요의 풍격 혼합

- 평면에 대담한 감주법(減柱法)사용 ; 복량(復梁)출현, 산서 오대산 불광사 문수전

- 복잡, 화려한 作風


2. 도시와 궁전


수공업, 상업의 발전 → 중형도시 출현, 도시배치 변화


2-1. 북송의 동경

■ 황하중류의 대평원에 위치 ; 대운하의 중추, 수륙교통 편리, 수공업과 상업 발전

■ 외성

- 둘레 19km

- 성벽 100보마다(약155미터) 방어용 馬面설치

- 성문, 옹성, 성루, 적루


■ 내성

- 주위 9리

- 궁전, 아서, 사관, 왕공택제, 거주용 주택, 상점, 작방


■ 궁성

- 주요 전당은 工字殿 형식

- 당대 궁전 서경(西京) 참고

- 조군(組群) 배치가 계획적, 정제, 융통성, 화려, 정교

- 원림 ; 간악(艮岳), 금명지

- 방화 건축물 설치 ; 망화루, 군순포옥

- 교량 설치 ; 천한교, 홍교


2-2. 평강

■ 강남의 평원에 위치 → 수로, 육로 교통의 요지


- 가도 ; 종횡으로 직교, 십자형(十字形), 정자형(丁字形)

노면 벽돌 깜.

- 하도, 분거 ; 간선과 세밀하게 분포, 보충적인 교통망


■ 자성(子城)

- 평강부 관아 소재지

- 당, 송 양대 관서건축의 중요 예

- 장방형 평면

- 남북축선 기준 ; 남쪽 : 청당, 설청(사무처리)

북쪽 : 주택, 원림

기타 : 각종 사무실, 고방, 작방, 교장


3. 주택

 

■ 주택

- 원칙 ; 전당후침

- 평면 ; 丁字形, 工字形, 王字形

- 관원의 택저, 사관, 궁전, 궁전 외에는 두공, 조정, 문옥 및 채화양방 금지 규정

- 富商과 地主들은 준수하지 않음


■ 원림

- 북송 ; 규모크고 별장성격, 자연환경 이용, 차경(借景)채용, 자연적 풍취 풍부

- 남송 ; 對景중시

문인, 화가가 원림 설계작업 참여

자연풍경 이용(인공적) : 기봉, 절벽, 계곡, 음동

■ 가구

- 거주방식의 변화 ; 탁자, 의자, 등자 등 새로운 가구 출현

- 가구의 조형과 구조상 변화 ; 양주식의 광가식 결구, 장식성의 선각 응용

- 가구의 척도 증가 ; 건축물 실내고도의 증가에 영향 줌

 

4. 사묘(祠廟) 및 사(寺), 탑(塔), 경당(經幢)


4-1. 사묘(詞廟)

■ 산서 태원의 진사 성모전

- 종축선 따라 석교, 철사자, 금인대, 헌전, 비량, 성모전 배치

- 성모전

· 정면 7칸, 측면 6칸

· 주위 회랑 ; "부계주잡"형식

· 실내 ; 철상로명조(徹上路明造) 사용

· 외관 ; 각주 생기(生起) 현저


■ 산서 만영현 분음의 후토사묘

 

 

4-2. 불사(佛寺)

■ 하북 정정 융흥사

- 배치형식 ; 송대 불사건축의 대표, 주종이 분명

- 불향각 내 사십이수관음 ; 현존 중국 고대 최대동상

- 전륜장전, 자씨각 ; 2층의 중첨헐산정, 고형 불사건축의 특징 반영

- 마니전


■ 하북 계현 독락사

- 산문 ; 정면 3칸 단첨무전정

- 관음각

· 3층(외관상 2층, 중간에 암층)

· 관음상 ; 현존하는 중국 고대 최대 소상

· 조형상 특징 ; 요대(웅건) + 송대(부드러움)

cf. 오대산 불광사 대전


■ 산서 대동 화엄사 대웅보전

- 고대 단첨목조건축 가운데 체형 최대


■ 산서 대동 화엄사 박가교장전

- 요대 건축 풍격 충실히 반영


■ 산서 대동 선화사

- 현존 요, 금대 불사 가운데 규모 최대

- 요대 : 대웅전, 금대 : 보현각, 삼성전, 산문


4-3. 탑(塔)

■ 산서 응현 불궁사 석가탑

- 현존 최고의 목탑(H:67.3m)

- 남북조시대 불사 평면 배치

- 건축체량의 시각범위로서 전체 배치 확정

cf. 하북 계현 독락사

- 석가탑 이외 건축물은 명, 청대 건조

- 평면 팔각형 ; 외관 5층( 높이 9층, 네 개의 암층)

- 약 60여종의 두공 사용

- 탑의 조형과 목조결구법의 우수성


■ 전석탑

- 누각식 전석탑

· 평면 ; 방형, 육각형, 팔각형

· 탑신 벽돌, 외곽 목구조 방식 채용 ; 소주 보은사 탑, 항주 육화탑

· 탑신 벽돌, 석재 외관 누각식 목탑 모방 ; 소주 호구산 운암사탑, 열하 경주백탑, 천주 개원사 쌍탑

· 탑신 벽돌, 석재 외관 누각식 목탑 간략 모방 ; 산동 장청 영암사 탑

하북 정현 개원사 탑

하남 개봉 우국사 탑

- 밀첨식 전석탑

· 북방에서 요, 금대에 성행

· 팔각형 평면, 일부 방형평면

· 산서 영구현 각산사탑, 북경 천녕사탑


4-4. 경당

- 밀종 전파로 증가

- 하북 조현경당


5. 능묘

 

■ 제후 능묘

- 중국 고대 능묘제도의 전환점

- 하남 공현 경내의 낙하 남안의 대지위에 능구형성 ; 후대 집중능구 설치형식의 발단

- 대체로 당대의 능제 모방

cf. · 척도, 석상생 숫자 비교적 정제되고 획일적이며 형제가 기본적으로 일치

· 능 규모 예제 규정으로 제한

· 풍수의 관념으로 지형 선택

- 인종의 영소릉


■ 지주, 부상의 분묘

- 사치스러운 생활상태 반영

- 전당후침의 주택 배치방식 반영

- 하남 우현 백사 제 1호분

 

 

6. 영조법식

 

- 장작감 소감 이계 편수

- 북송 숭녕 2년(1103년)에 간행된 각종 건축의 설계, 결구, 재료와 시공에 대한 규범

- 석명, 각작제도, 공한, 요례, 도양의 5개부분 34권과 간상, 목록으로 구성

 

6-1. 모수의 제정과 운영

- 대목작 부재 재, 계, 푼으로 확정


6-2. 설계의 융통성

- 각작제도의 총원칙하에서 설계자가 구체적인 정황에 따라 부재의 비례척도에

대하여 자신의 창작성을 발휘할수 있도록 함


6-3. 기술 경험의 총결

- 원, 방, 육각, 팔각 등 형체의 직경과 둘레, 사장의 비례숫자를 열거하여 공장이 작업을 편리하게 하도록 함

- 안쏠림과 귀솟음을 두어 구조의 안정성 증가

- 합리적인 "교할"의 비례와 위치 규정

- 벽돌, 기와, 유리의 원료배합과 소성방법, 각종 채화연료 배색방법 서술


6-4. 장식과 결구의 통일

- 예술형상과 조각장식 등 가공방면에 상세한 조문과 도양 서술

- 정확한 기하방법 사용하여 예술가공방법 규정

- 결구부재 충분히 이용하고 적당한 예술가공 추가하여 장식효과 발휘


6-5. 건축 생산 관리의 엄밀성

- 예산과 시공 조직을 짜기위한 엄밀한 표준 정함 ; 생산, 감사의 편지

 

7. 건축의 재료, 기술과 예술


■ 재료

- 벽돌생산 증가(성벽, 도로, 전탑, 묘장)

- 유리전와 등 유리제품 생산 증가(동경 우국사 유리탑)

 


■ 목구조 기술

- 요

· 현지 한족 공장에 의존 - 당대 결구 특징 보존

· 대동의 하화엄사 박가교장전, 계현의 독락사 관음각, 응현의 불궁사 석가탑

cf. 오대산 불광사 대전

· 평좌암층수법 사용(독락사 관음각, 불궁사 석가탑) ; 당대 누각건축의 유풍

· 철상로명조 채용 공간 확대( 신성의 개선사 대전, 대동의 선화사 대전,

의현의 봉국사 대전) ; 감주, 이주수법 시작

- 북송

· 결구의 단순화

· 영조법식의 규정에 의거 건축의 표준화와 정형화 이룸 ; 융통성 발휘

- 금

· 송, 요대 건축영향 받음

· 감주, 이주수법 사용하여 내부공간의 융통성 발휘(계현 숭복사 미타전,

오대산 불광사 문수전, 대동 선화사 삼성전)

· 요대에 출현하기 시작한 경사지게 공을 나오게 하는 두공 결구방법 대량 사용

· 송대의 결구 단순화 구법 모두 구현

- 남송

· 결구수법 북송과 동일, 부재가공은 더욱 정교

(사천 강유현 운암사 비천장 → 명,청대 여의두공의 효시)

- 기타

· 기초구조는 항토사용 이외 양질의 흙 운반 사용

· 기초 밑에 말뚝 사용

· 전석 결구 기술 발달 ; 다리와 탑(천주 만안교, 소주 호구탑)


■ 건축예술

- 종심배치

- 변화 풍부한 외관 조성

- 주체건축의 중요성 부각

- 지형 잘 이용하여 원림의 풍취 풍부

- 주종이 분명한 외관

- 주신의 비례 높아지고 명간은 장방형을 이루며 두공은 상대적으로 감소,

보간포작은 증설

- 실내의 통풍과 채광 개선(영조의 조합이 극히 풍부한 문, 창 대량 사용)

 

제 7장 원·명·청 시기의 건축


1. 원대 사회의 변동과 건축 개황


■ 정치, 사회; 몽고족 건립, 남송 멸, 중국 통일, 한족에 대한 억압과 인민의 투쟁, 통치수단으로 라마교, 기타 도교, 이슬람교, 기독교.

■ 건축 개황; 종교 건축, 오락성 건축, 수공업건축(수마작방), 도시 건설(대도;북경)


2. 원의 대도와 대도의 궁전

 

-대도; 북은 화북평원 준령이며 원 근거지에 가깝고 남은 전국을 다스릴수 있는 위치, 한족 전통 도성 배치법,

방-행정관리단위, 운하로 용수.

·궁전-좌조우사 배치(고공기) 계승 남북추선 배치, 좌우대칭(송, 금대 건축)계승, 카페트와 모피, 비단 장 막(라마교, 이슬람교)영향.


3. 원대의 종교건축


3-1 불교,도교 그리고 사사건축

-광승사: 상, 하 사원이 서로 다른 조합과 공간 구성, 전통적 배치 수법.

하사의 양가결구, 감주와 이주법, 대량의 절약으로 융통성 있는 결구 방법.

-수신묘대전: 회랑, 정원은 희곡 관람, 사사건축의 독특한 형식.

-영락궁: 뒤로 갈수록 건물의 체적과 원락이 감소(전통 특징) 입면(송대 특징)

3-2 라마교와 이슬람교 건축

-살가사: 평워 위 성보식 사원, 하로사-한족과 장족 건축의 교류

-묘응사 탑: 벽돌 위 석회, 비례 균형, 웅휘, 기세가 높다.

-토호극마찰: 궁륭정, 유리전 상감, 한족의 전통 배치와 결구 체계+이슬람 기능적 요구 결합=중국 이슬람

건축.


4. 명·청 시기 사회의 변동과 건축 개황

 

■ 정치, 경제, 사회

-중국 전통 사회의 회복, 정체, 붕괴 시대.

-명: 주원장, 농업, 수공업, 상업, 대외 무역, 유가의 윤리 도덕과 예제 제창, 불교와 도교.

-청: 이자성, 만족, 수공업, 상업 억제, 한족에 대한 고압과 융화, 사상계 질식, 외래종교는 정치도구화


■ 건축 개황

-지방건축, 사사건축, 단묘, 주거건축의 향상, <영조정식>- 건축과 가구<원야>-조원, 건설

-기계, 건축재료의 발달, 관식건축의 정형화: 예술 고수준, 창조 다양성 제한.

 

5. 명·청대의 도성 및 궁원


■ 북경 남측 외성 축성.- 방어, 수공업, 상업구역 보호, 전통 계승+종축선 골간.

가로체계 방각형, <예기> <고공기> 및 봉건 예제에 맞춰 배치, 종법관념에 관한 등급제도 표현.

건축과 정원의 건축예술체계.

색채의 풍부한효과,통일 속의 변화,

■ 원유- 원림 위주의 황제 행궁, 큰 면적과 변화 많은 지형, 구역마다 다른 내용과 시의가 풍부한 제의, 처리수법과 의경은 강남의 명승과 사가원림의 영향, 경구의 특징이 두드러져 부조화의 상황,


■ 이화원 - 제1부분; 만수산 동부, 조정과 거주 부분, 엄숙, 기백 큼

건축체량은 크지않음.

- 제2부분; 만수산 앞, 축선 구성, 건축군 통일, 조형이 미련.

- 제3부분; 뒷산과 호수, 유정한 자연 풍경, 소주의 임수가도 모방.

- 제4부분; 곤명호의 남호, 서호, 수면 위주, 강남수향의 경색.

주위 환경 이용하여 광활한 공간 창조, 조화, 통일배치의 융통성, 통일 속의 변화.

화려,휘황한 풍격 창조의 특징.


6. 명대의 만리장성과 해안 방위의 거점


■ 만리장성-적대, 도대가 단조성 타파, 전석 재료, 결구, 시공의 업적

-성벽: 산맥의 분수령 선상에 건조, 석벽, 항토벽, 벽돌벽, 치첩, 절벽, 3-8m

-적대: 초루, 30-100m간격, 실심(조망과 사격)과 공심(거주 가능), 평면은 방형과 원형

-봉화대: 1.5km간격, 항토, 중요 장소 외부 벽돌, 돈대-500m, 화포망 구성, 병사 주둔.

-관애: 군사 공도, 영도 설치, 돈대 추가


■ 해안 방위 거점- 위, 소, 보, 채, 관애, 절벽 위 고각


7. 명·청대의 일반 성진,주택,원림 및 가구의 진설


7-1.명·청의 도시

■ 성, 부, 주, 현의 등급, 도시에는 성벽과 호성하, 벽돌 건조, 성문은 옹성, 외곽에 나성, 익성, 위에 성루 또는 전루

■ 도시 가로-십자형, 정자형 상점은 큰길, 주택은 골목, 아서, 단묘, 사관 등 대형 건축은 중심, 패루, 종고루, 고탑도 세움, 도시 윤곽 풍부.

■ 주택-등급제도, 1, 2품은 5칸 9가, 서민은 3칸 5가 등, 후대에 잘 지켜지지 않음

주택 유형-원락식 주택; 한족, 목구조, 진령, 회하 경계로 남북방으로 나뉨

1. 사합원 주택-북방, 종법예교의 지배, 종축선에 따라 대칭, 대문은 동남 모서리, 영벽, 이문, 벽과 담으로 봉쇄, 지붕은 경산식, 평정, 단비정, 온돌 난방

2. 폐쇄식 원락-남방, 종축선 배치이나 방향 제한 없음.

중 ,좌, 우3조의 원락조군, 조사이 비농(협도)설치, 순라와 방화의 작용, 천두식, 혼합 구조, 목구조의 갈, 흑색과 백색의 벽, 화와가 조합 우아, 소박, 맑은 특징.

3. 산구주택-절강, 사천, 지형에 따라 대상지기를 경제적으로 조성, 방향, 대칭은 지형에 순응, 지? 현산형, 소박, 생기가 풍부한 외관

4. 객가주택-복건성 서남부, 공동, 광서의북부, 군체주택

-전방후원의 대규모 원락식 주택, 중, 좌, 우 세 부분

-전루, 토루 환형가옥, 웅장한 보루와 흡사.

5. 요동식 주택-고애요; 천연토벽에 횡동, 또는 평탄지에 지갱요, 천정요 설치, 하남 등지.

6. 간란식 주택-광서, 귀주, 대만 등지, 통풍, 채광, 방도, 야수 방지, 목구조, 대나무, 평면은 횡장형, 하부 축사 등으로 상용

7. 정간식 주택-삼림지구, 목재 적층식

8. 장족의 주택-서장, 청해, 감숙 사천의 북부, 석재, 조형이 엄정, 장식 화려

9. 평정 주택-신강 유오이족, 남강은 원락식, 공간 개방, 융통성, 토로번은 토공 주택

j. 이동식 전포-몽고, 합살극, 유목생활, 나무가지 구조, 원형 천창으로 통풍 환기


■ 원림

사가원림의 발달, 규모 크지 않은 세부적 수법, 명랑함 부족, 지나치게 조밀

한벽장-자연 풍취 풍부, 수석화죽, 태호석봉, 산수화의 영향

유한한 공간 안에서 다양한 경구 구성, 상호 연관과 대비로서 점차 절정에 이르도록 하는 의경의 특징, 당시 관료, 지주, 상인의 물질적 향유와 위축된 사상 반영.


■ 가구

건축물의 폭과 길이, 사용요구에 따라 가구의 종류, 양식, 척도를 고려 일체감이 있는 배치제도, 열대목재 수 입, 수공업 진보로 가구예술 발달, 명대에는 간결, 소박, 청대에도 계승하나 궁정가구는 복잡, 칠 가구, 상감기 법으로 제작, 통일과 조화의 파괴, 민간가구는 그렇지 않음.

가구 배치는 조를 이루는 대칭의 방식, 쌍 배열, 궤, 주, 서가, 서화 등 진설품과 종합적 장식 효과


8. 명·청대의 단묘 건축과 능묘 건축

 

종법예제, 등급관계, 종법가족사상과 천을 지고무상으로 믿음

조상숭배가 어우러져 제사성의 건축 수건


■ 천단-북면 모서리는 원형, 남면은 각형으로 천원지방, 천단은 대가의 동, 입구는 서

■ 환구-3층 원형의 백석대, 황제가 동지날 하늘에 제사지내는 곳, 간단, 장엄, 명쾌.

■ 황궁우-호천상제의 패위 받드는 건축, 단첨의 원형 소전

■ 기년전-원형평면 대전, 3층의 대기와 3층의 첨, 화궁우와 주종관계, 후면 황건전.

조군은 원형, 그사이와 담은 호형으로 하여 고대 천원의 우주관을 반영, 기년 문 앞에 좁고 긴 정원 을 배치하여 척도감을 크게 한다. 백림 숲의 엄숙한 배경은 건축 돋보이게 함.

■ 13릉-동, 서, 북 산령으로 둘러싸임, 석패방, 능은전, 명대는 후비와 합장, 청대는 별도로 함.

 

9. 명·청대의 종교 건축


9-1. 불교사, 탑


■ 비홍탑-명대의 누각식 전탑, 팔각, 유리기술, 세밀 화려

■ 금강보좌탑-인도 기원, 중국적 변화, 라마교 장식.

■ 정정화성탑-청대, 석라마탑, 모서리 8개 소석탑, 화려한 풍격.

■ 풍평대불전-청대, 웅금탑, 만수만탑, 다변의 윤곽, 조식, 버마탑과 유사

■ 숭선사-고대 대형건축평면의 전형, 낭원제도, 소원과 주체 낭원의 관계, 주원과 소원사이 협도의

연계


9-2. 장족과 몽고족의 라마교 건축

찰창(경학원)과 불사(외측)의 중심 건축외 활불의 사무소, 주택 등 부속 건축

 

■ 납복능사- 청대, 우물 천창 채광의 신비로운 광선, 번장, 카페트의 라마적 분위기

결구는 밀량평정의 구조, 웅장 견실, 장식 정형화, 횡방향 장식대는 척도감 증대

■ 포달랍궁- 사원과 유사, 산정에 건축, 전체건축을 조절함, 몽고족은 한족문화와 융합

■ 석력도소- 평면, 공간 처리는 라마식이나 구조 등은 한족 특징


9-3. 하북 승덕의 라마교 사원

산세의 자연적 경사 이용과 더불어 인공적 처리의 병행, 경승지, 엄숙한 건축에 생기를 줌, 웅장한 가운데

활발함.


9-4. 이슬람교 건축

■ 회교의 예배사와 교장묘 계통,유오이족의 예배사와 마찰 계통.

■ 청진사- 명대, 동서축선, 대문 동측, 예배전은 전랑, 대전, 후전 세부분, 번잡하고 세밀한 도안의 내 부 장식, 중앙 아시아 및 중국 양식 흡수, 융화

■ 유오이족의 이슬람 건축- 신강 지구, 목주 밀량평정과 토괴공, 자유롭고 융통성의 배치, 궁륭정

■ 녹색지붕의 예배사, 시선이 집중되는 곳의 장식예술의 높은 성과.

 

10. 원. 명. 청대 건축의 재료, 기술, 예술

 

■ 전 ; 명대 대량 생산, 기둥과 양가 이용지지, 15세기는 무량전, 이슬람으로부터 궁륭전

B. 유리 ; 유리전, 채색 유리전식면 장식 풍부, 사용의 엄격한 제한.

C. 목결구 ; 대내액 사용하여 내액 위에 옥가를 배열 감주, 이주의 수법 형성, 양끝단의 앙으로 거대한 사두가 두공의 외측으로 뻗어나오게 하여, 직접 첨름을 받치게 한다. 명. 청 시기의 누각 건축 은 내주를 상층으로 직접 상승하게 하고 요, 금대의 누각 건축에 자주 보이는 상하층 기둥 사이 의 두공을 제거하였다.


관식건축은 고도의 표준화 정형화 되었으나, 지역건축은 특색을 드러내었다. 조군의 총체적인 배치에서 많은 건축적 성과가 있었다. 그 바탕 위에 융통성 있고 적절한 운용으로 공간을 조직하였다. 당, 송 이래 왜소한 낭원으로 주체건축을 에워싸던 수법을 폐기하고 정방,상방, 담, 문등의 폐쇄적 공간으로 바꿨다.

명,청대의 민간건축과 원림은 공간조직, 건축조형, 장식, 재료, 시공 등 여러 방면에서

많은 창조와 발전이 이루어졌다.

 

'주거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사합원  (0) 2009.09.16
가구의 역사  (0) 2009.08.31
한옥의 창호  (0) 2009.05.22
[삼국사기] "옥사조"  (0) 2009.05.16
四合院과 한옥  (0) 2009.03.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