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주거문화

중국의 사합원

by 8866 2009. 9. 16.

 

중국의 사합원

 

1 중국 주거문화의 배경

 

1. 자연환경

1) 중국에는 위도 상으로 북위 4。 부근의 남사군도(南沙群島)에서 53。31'의 헤이롱장성(黑龍江省、)모허현      (漢河縣)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후대가 분포한다. 중국에 존재하는 다양한 주택유형은 바로 이같이 다양한     기후대와 관련이 있다.
2) 이 장에서 다루는 사합원(四合院)은 비교적 한랭한 북부지방인 화북(華北)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3) 한편, 토루(士樓)는 푸젠성(福建省), 광동성(廣東省), 장시성(江西省)등 중국의 납부지역에 주로 분포하는데,     이 곳은 북위 18~31도, 동경 I03~121도에 걸치는 지역으로 해발 고도 1,000m 전후의 전형적인 아열대 산지     기후를 가지고 있다.
4)주거공간의 구성요소도 기후와 관계가 있다.
  ⓛ 중국주택에서는 지역에 따라 원자(院子), 곧 마당 또는 정원의 크기가 다른데, 이는 기후와 관련되는 것       으로 보인다. 
  ② 추운 지방에서는 일조를 위하여 원자가 개방적으로 구성되며 더운 지방에서는 일광을 차단하기 위하여        매우 밀폐적으로 형성된다.
  ③ 중국 납부지방에서는 태양의 고도가 높으므로 이층의 건물로 둘러싸이는 깊고 좁은 중정을 만들어 일사       를 막고 통풍을 꾀하였다.
  ④ 이같이 작고 폐쇄적인 중정을 천정(天井)이라고 부른다. 천정은 주택 내부를 외기에 면하게 함으로써 주       택의 환경을 조절하여 준다.
5) 중국의 많은 도시는 평지에 위치한다.
  ① 따라서 도시에 주거영역을 형성할 때 별다른 지형에 의지할 수 없으므로 더욱 더 영역을 강하게 에워찰       펼요성이 있게 되고 건물이 자체적으로 어떠한 건축적 질서를 형성할 펼요가 생긴다.
  ② 중국의 주택에서 축(輔)과 대칭이라는 질서원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 것도 이같은 자연조건에 관련된다       고 할 수 었다.
  ③ 사합원은 이같이 평지의 도시지역에서 도시주거로 자리잡은 대표적인 주택유형이다.
  ④ 이와 달리 토루는 해발 150m~800m 사이에 주로 분포하며, 대개 해발 300~500mm의 산간 소분지와 구릉       에 위치한다. ~

2. 중국 건축의 선험성․관념성․위계성

1)중화사상으로 표현되는 중국의 중심주의적 사유방식은 중국문화의 주요한 특징으로 설명된다.
  ① 중심성을 추구하는 중국문화의 세계관에 따라 중국인들의 의식에서 도시는 우주의 중심으로, 주거는 가       족과 자아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② 주거건축에서도 중심을 추구하는 영역 만들기가 중요한 개념이 되며 그러한 개념은 벽 쌓기라는 독특한       방식에 의해 공간의 켜를 만들어나감으로써 구현된다. 따라서 중국의 주택은 주변에 대해 폐쇄적이고 독       립적인 영역을 확보하는 특성을 갖게 된다.
  ③ 사합원은 이같은 개념에 부합되는 유형이다. 주택의 외부공간에서 원재(院子), 그리고 내부공간에서 댄         (堂) 은 그러한 중심성을 함축하는 장소이다.
  ④ 이러한 중심의 추구는 초월적 이상향을 추구하는 도교적 관념과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⑤ 일반적으로 한대(漢代)에 유교의 예의(禮嚴)제도를 바탕으로 한 봉건질서를 반영하는 건축의 정형화가        이루어졌다고 본다. 이 때. 건축의 좌우대칭, 위계성, 원자를 중심으로 하는 공간조직이 발생한 것으로 여       겨진다.
2) 중국의 전통주택은 거주자의 사회적 계급에 의해 주택의 규모에서 세부의 장식까지 꽤 엄격한 제약을 받았    다.
  ① 이 제약 중에서 특히 본채인 정방(正房)의 전면 폭에 대한 제약이 엄격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세 칸을 넘       는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② 중국 사회의 엄밀한 남녀구분, 장유유별의 대가족제도, 종법제(宗法制), 주택세습을 바탕으로 하는 관료제       둥이 사합원 공간을 규정하는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3) 곧, 사합원은 중국의 유교 전통, 곧 봉건사회의 예의(禮嚴)제도를 반영한다.
 4) 이에 비해 토루는 동족(同族)의 대가족등도를 바탕으로 형성된 주택유형으로서, 유교의 위계적 질서보다는      동족 구성원 사이의 평둥한 공동생활의 사회관계를 반영하는 대형 집합주거이다. 토루에는 오복(五服)내의      가족들이 함께 거주하게 되는데 족보자료를 근거로 할 때 한 조/엄開基祖)의 오복 내 가족수는 500인 정      도로 발전하며 대형 토루{72개간 정도)는 이들을 수용할 만한 규모이다.

3) 풍수도 중국주택에 큰 영향을 준 요인이다.
  ① 풍수는 주택의 입지와 공간요소의 방위․위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준다.
  ② 특히 산간지방에 위치하는 토루의 입지로는 삼면이 산으로 둘러싸이고 전면이 개방되며 전면으로 물이        흐르는 지형이 선호되었다.

3.하위문화
 1)중국은 56개의 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국가인데 한족(漢族)이 인구의 92%정도를 차지한다. 이들 민족들     은 독특한 문화와 주택유형을 형성, 유지하여 왔다.
 2) 그 중 사합원은 본래 중국 민족의1주류를 이루는 한족의 주택유형으로 중국 주거건축으로서 가장 역사가      길고 대표적인 유형이다.
 3) 토루는 한족으로부터 갈려나온 객가(客家)에 의해 건설되기 시작한 독특한 집합주거유형이다.
    ① 객가는 본래 한족으로서, 초기 중?국문명의 중심지이며 진한(奏漢)이후 전란이 끊이지 않은 중원(中          原), 곧 회해(堆河)이북 황승(黃河)의 중하류 지방에 혈연과 지연의 연원을 둔 집단이다.
    ② 이들은 4~5세기 동진(東普)부터 I2~I3세기 송대(宋代)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에 걸쳐 전란을 피하여         중원으로부터 서남부인 광동, 푸젠, 장시성의 경계지역에 가족 단위로 이주하였다.
    ③ 중원의 문화가 이민족들의 문화를 흡수한 것에 비해 객가인은 한족 고유의 문화를 유지함으로써, 객가         는 중원의 문화와는 다른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④ 또한, 객가인은 헐연에 바탕을 둔 자연마을을 형성하여 자급자족적 농업 마을공동체를 발전시키고 혈         연을 중심으로 집단 경작하는 생산방식을 정착시켰다.
    ⑤ 따라서 당시 다른 지역과는 달리 가족 내부에서 생활 수준이 균등하였다. 가족 중의 지위의 차이는 단         지 공부를 해서 관리가 되는 것에 의해서일 뿐이었다.
    ⑥ 오늘날 객가의 인구는 3, 500만 이상으로 추정되며, 중국외에 거주하는 객가인을 포함하면 7, 000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⑦ 객가는 이주해간 지역에 정착하기 위해서 선주민들과 지난한 갈등과 투쟁을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러한 열악한 상황에 놓인 객가들이 중국의 역사에 큰 자취를 남긴 것은 태평천국(太平天國)이다.
    ⑧ 태평천국은 I85l년 1월 성립되어 I864년까지 지속된 대규모의 반란군 정부를 말한다. 그런데 이 태평천         국의 난을 일으킨 인물이 광동성 화현(花縣)의 객가 출신인 홍수전(洪秀숨)이다.
    ⑨ 그 뿐만 아니라 태평천국의 난을 주도한 세력의 대부분이 객가였다.
    ⑩ 홍수전은 연이은 과거 낙방으로 유교와 결별하고 기독교에 심취하였으며 태평천국은 기독교를 표방하         며 평등사상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만일 그러한 신념을 당시 객가들이 공유하였다고 가정한다면, 그것         이 객주거 유형인 토루를 성립시킨 중요한 배경을 이루고 있지 않은가 생각해 볼 수 있다.
 4) 그러나, 민족과 주거유형이 1:1로 배타적으로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① 오늘날 많은 민족들이 사합원식 주택에서 거주하며 객가인 한족이 거주하는 토루도 있다.
    ② 이에 따라 사합원은 민족과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종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베이징 사합원이 가장 전         형적인 예이다.
    ③ 현존하는 대표적인 토루인 푸젠성 화안현(華), 얼이로우(二宜樓)도 객가가 아닌 한족이 건립하였고 오          늘 그 후손들이 거주하고 있다. 얼이로우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5) 중국 도시는 대개 지에(街)로 가방(街야;블록)이 구획되고 가방(街야)은 후통(胡同;남부에서는 시앙(흉), 리     롱(里弄)이라고 불림)으로 조직된다. 이러한 기본 틀 아래서 도시마다 독특한 공간구조와 문화를 가지며 그     것은 도시에 존재하는 주거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베이징의 경우 후통의 배열과 성격은 사합원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주로 산지에 자리잡은 토루는 자족적인 거주단위로서 주변의 마을     조직과 의미있는 관계를 형성하지는 않는다.


2 사합원의 공간구성과 구조방식1 -건물부분

 

- 사합원은 유형적으로 중정형 주택이다.
- 그 단위는 하나 하나의 건물이 아니라 중정을 벽으로 둘러싸는 건물군이라고 할 수 있다.
- 일찍이 서주(西周)시대의 주거지에서 사합원의 흔적이 발견되었다고 하며 사합원 형식은 주택 뿐 아니라     일반 건축의 기본 유형을 이루어 왔다.
- 사합원은 중국 건축의 기본적인 원리를 내포하고 있는 중국 주거건축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다.

- 따라서, 사합원을 통해 중국 1주거건축의 가장 중요한 단면을 이해하고 나아가 중국 건축의 원리를 밝힐 수    있다. 특히 개개 건물에 비중을 두기보다 건물군을 이루어 풍부한 거주환경을 만들어내는 방식에 초점을 맞    추어 사합원을 연구할 때 많은 건축적인 교훈을 얻을 수 있다.

- 중국의 주택은 크게 원(院)또는 청(廳)이라 불리는 건물부분과 외부공간인 정원(庭院)으로 구성된다.

- 대체로 사합원에는 여러 유형의 중국주택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는 사합원을 중심으로 중국의 주거공간을 이루는 요소들을 서술한다.

1.건물 부분의 구성

1)문과 벽, 담장

① 중국의 주택에서 대문은 격식과 장식을 통해 주인의 신분을 상정한다.
   -주택 배치에서 대문 위치는 지역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나 베이징지역에서는 집의 동남쪽에 대문을 둔다.     
   ※동은 문왕팔괘(文王八封)의 손(巽, 동남쪽, 유순하다)에 해당하며 주역(周易)에 손은 입(入)의 뜻을 가지       고 있다. 감택손문(坎宅巽門)이 길하다고 하며, 주택 진입로인 후통이 대지의 북쪽에 있을 경우에도 대지       의 동측에 별도의 진입골목을 조성하여 가능한 한 대문을 동남쪽에 두려는 경향이 있다. 이로부터 사합       원에서 길의 위치가 일방적으로 대문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② 대문을 들어서면 영벽(影壁)이 바라보인다.
   - 영벽은 조벽(照壁)이라고도 함
   - 다양한 무늬와 길사송어(吉辭頌語)를 사용해 장식되거나 주변을 자연석 둥으로 꾸며서 독특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 때에 따라서는 동상방의 산장(山增), 곧 측벽을 이용해 영벽을 조성한다.
③영벽을 보고 좌로 꺾어 들어가면 우측 담장의 중앙에 수화문(垂花門)이 있다.
  - 이문(二門), 중문 또는 내문(內門)이라고도 불림
  - 수화문은 두 개의 수화주(垂花柱)를 가지고 있어서 그러한 이름
  - 주택의 중심축 상에 자리해 실질적인 입구의 역할
  - 수화문은 주택의 내․외부를 구획하는 곳
  - 외부인은 허가 없이 이 문 안으로 들어서지 못하였으며
  - 부녀자 특히 미혼의 처녀는 이 문밖으로 나가는 것은 물론 문밖을 엿보는 것조차 금지
  - 주인의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과시하는 수단이었으므로 화려하게 장식, 다양한 색채와 문양이 가미       - 소규모 서민주택에서는 수화문이 생략되거나 있어도 간소하게 처리된다

2) 청(廳), 방(房)

 ①전원(前院)의 남쪽에 자리하여 대문과 같은 몸체를 이루고있는 건물이 도좌방(倒座房)또는 하방(下房)
  - 손님의 숙소, 창고, 남자 하인의 거처 등으로 사용되는 곳이다.
  - 때에 따라서는 여기에 변소가 설치되기도 한다.
  -농촌지역에서는 하방에 농작물을 저장하거나 가축을 사육한다.

②도좌방을 제외한 정방과 두 상방 등 사합원의 세 건물은 각각 보통 세 칸으로 구성된다.
  - 중앙의 공간이 가족의 모임이나 식사를 하는 거실로 사용되는 당(堂)
  - 좌우의 공간이 와실(臥室), 곧 침실이다.
  - 당만이 정원과 통하는 문을 가지며 양쪽의 와실은 정원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이렇게 가운데에 공적인 공간을 위치시키고 양쪽에 사적인 공간을 두는 구성방식은 사합원을 비롯한 많       은 중국주택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이같은 기본적인 주거공간 구성원리를 일명이암(一明二暗), 일당이내(一堂二內)또는 사가삼간(四架三間)     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원리에 따르면, 당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주거공간이 구성된다.
   따라서 중국주택의 형식미를 이루는?축과 대칭?또한 일명이암의 원리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     다.
   그리고?일명이암?이라는 용어는 주거공간에서 빛의 변화가 중요하게 고려되었음을 암시한다.
   명대(明代)의 주택에서 정방을 제외한 건물은 세 칸의 중간에 벽을 막아 한 칸 반의 실을 두 개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한 칸에 우리의 온돌과 비슷한 난방방식인 화강(火센)을 설치하고 반 칸의 회전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합리적인 실 구성이다.

③수화문에서 내원(內院), 곧 중정 건너편 정면으로 바라보이는 건물이 가장이 거처하는  정방(正房)이다.
  정방의 좌우에는 상방(廂房)이 위치한다.

   - 상방에는 일반적으로 아들 부부가 거주
   - 동상방이 서상방보다 위계가 높으므로 대가족제 아래서는 위계에 따라 장남의 가족이 동상방에, 차남       의 가족이 서상방에 거주한다.
   - 농촌지역에서는 상방에 소작농 가족이 거주하기도 한다.
④일조가 필요한 북방지역에서 정방은 정남향을 하나, 남방지역에서는 남향을 그리 중시하지 않는다.
   - 정방의 당은 조당(祖堂)이라고 불리는데, 조상의 위패를 모시는 상징성이 있는 공간이자 주택의 중심     - 조당은 일상적으로 접객과 식사의 장소로 쓰이지만 관혼상제의 장소로도 사용된다.
   - 남부지방에서는 정방의 전면이 개방되어 원자, 즉 천정과 공간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⑤와실에는 침대를 비롯하여 여러 가지 가구가 있으며 침대 후변에는 마통(馬桶), 곧 간이 변기와 침뱉는 그    릇인 담우(痰盂)가 놓인다.
   - 그런데 베이징을 위시한 화북(華北)지방의 주택에서는 갱(玩)이라는 시설이 설치되었었다. 갱은 우리       나라의 온돌과 유사한 난방시설로서 중국의 북부지역에서는 일반화된 것이다.
⑥와실의 좌우 양쪽 끝에는 작은 방이 부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마치 귀처럼 보인다 하여 이방(耳房)이    라고 불린다.
⑦음식문화가 발달한 중국의 주택에서 뜻밖에 소홀히 취급되는 곳이 부엌이다.
   - 대규모의 주택에서는 부엌이 상방이나 후조방의 한쪽 구석
   - 소규모의 주택에서는 마당의 한 구석이나 간이건물에서 조리
   - 부엌에는 화로와 조리용 탁자가 있으며 물을 담는 커다란 항아리가 있다. 물을 공동우물에서 길어와        이 항아리에 보관해서 사용한다.
⑧중규모 이상의 주택에는 정방의 후면에 또 하나의 좁고 긴 마당이 있는데 이것이 후원(後院)이다.
⑨이에 변하는 건물이 후조방(後?房)또는 후조루(後?樓)
   - 이곳은 미혼의 여자 또는 하녀들의 거처로 사용되었다.
   - 이곳에 부엌 둥 가사용 작업실이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서비스를 위한 여성의 영역인 후조방은 주택의 가장 깊은 곳에 위치한다.
   - 또한 이곳에는 후통으로 통하는 작은 문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물건을 내가는 등 서비스의 용도로 사       용되거나 부녀자의 은밀한 출입을 위한 것이었다.
   - 밀도를 높이고 일조를 확보하는 데 유리하도록 이층으로 건축되기도 한다. 이 이층건물은 수루(?樓)        라고 하여 소저(小姐), 곧 아가씨가 거처한다.

3)건물을 덮는 지붕의 형식은 헐산(歇山), 무전(무殿), 현상(懸山), 경산(硬山), 찬첨(?尖), 권붕(卷棚) 등으로     나뉜다.
  ①헐산은 우리 나라 주택의 팔작지붕에,
  ②현산은 지붕면이 산장(山墻) 곧 건물의 측벽에서 돌출된 맞배지붕에,
  ③경산은 지붕면 단부가 측벽선과 일치하는 맞배지붕에 각각 해당한다.
  ④권붕은 지붕의 두 경사면이 용마루가 없이 곡선으로 연결되는 지붕형태이다.
  ⑤이들은 헐산〉현산〉경산〉권붕 동의 순으로 위계가 낮아지며
  ⑥일반 백성은 경산이나 권붕만을 사용할 수 있었다.

4)낭(廊)

①낭은 건물들을 연결하는 요소이며, 공간을 구획하거나 경관의 깊이를 증가시키는 역할도 한다.
②낭은 한대(漢代)의 벽화에서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오랜 역사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③낭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주랑(走廊)또는 유랑(游廊), 회랑(回廊), 수량(水廊)둥으로 나뉜다.
  - 주랑 또는 유랑은 한 건물에서 다른 건물로 연결하는 통로이며 넓이는5~10자 정 도로 위는 기와지붕으      로 덮인다. 낭주(廊柱)사이에는 좌등난간(坐?欄杆)이 있어 걸터앉을 수도 있다.
  - 회랑은 굴절되어 둘러싸는 주랑이다. 건물 사면을 둘러싸는 주랑도 회랑이라 불린다.
④주랑은
  - 실내공간과 정원을 이어주는 매개공간이며 공간의 깊이를 크게 해주고 공간감을 풍부하게 만드는 요      소
  - 또한 건물과 정원을 연결하여 주는 동시에 주택의 각 공간을 연결해 줌으로써 건물이 분리되어 배치된       사합원을 하나의 유기체로 만들어 준다.
  - 주랑이 있어 날씨에 관계없이 주택내에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 주랑은 이동의 장소일 뿐 아니라 바람, 일사, 비 등을 피해 조절된 환경 속에서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이다.


1- 2 사합원의 공간구성과 구조방식2 -외부공간

 

1.외부공간의 구성

- 격식을 갖춘 사합원에는 전원, 중원, 후원 등 여러개의 정원이 있는 중국에서 정원을 부르는 용어는 매       우 다양보통 크기 순으로 정(庭), 원(院), 원(園)의 세 종류로 구분한다.
- 정은 청(廳) 앞에 있는 소규모 정원
- 원(院)은 정에 비해서 규모가 크고 개방적인 공간으로 정에 비해서 일조조건이 좋고 화초를 심을 수도     있을 만한 생활공간
- 원(園)은 화초와 나무를 심고 돌을 쌓아 가산(假山)을 꾸미고 물을 끌어들여 연못을 만드는 등 조경의     비중이 큰 공간
 - 사합원의 공간구성에는 엄격하고 명료한 위계질서가 표현
 - 원림(園林)을 구성하는 원칙은 자연을 모방하여 대칭과 직선을 피하고 자연스럽고 변화가 많도록 꾸미     는 것
 - 주택의 엄격한 질서와 원림의 자연스러움은 사합원의 주거건축의 주요한 측면이자 중국 건축의 기번적 구     성원리이다.

1)사합원은 원자(院子)를 중심으로 구성
 ①큰 사합원은 깊이방향으로 원자를 두 개 이상 두어 구성. 이진원(二進院), 삼진원(三進院)등으로 부름
 ②원자는 주거공간의 핵이 되는 곳으로서 이를 중심으로 가족의 생활공간이 배열된다.
 ③원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한편으로는 자연과 만나고 사색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 인간이 자연과 만나는 곳인 원자에는 다양한 나무나 꽃이 심겨지고 어항이나 화분이 놓이기도 한다.
 ④사합원에서 원자 내의 세계는 담 밖의 세계와 대비된다.
   - 원자는 거주자 자신만의 소우주라고 할 수 있다.
   - 혼란스런 바깥세상과 격리되어 고요함을 느찔 수 있는 곳이다.
 ⑤원자는, 마치 거실과 같은 생활공간으로 비워져 있는 한국 전통주택의 마당과는 대비된다.
 ⑥일상생활에서 원자는 실내 공간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통합된 기능을 수행한다.
 ⑦보통 남향을 한 생활 영역으로서 여름철에는 차양을 설치하여 옥외 거실로 활용되기도 한다.
 ⑧때로 정원은 혼인, 상례 등을 치르는 의식의 장소로 쓰인다.
    - 곧, 당앞의 정원은 의식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서 있는 곳이 되기도 한다.
2)건물들이 만나는 모퉁이나 회량의 후면에는 누각천정(編角天井)이라고 불리는 작은 물이 형성되는데 이곳    은 바위나 대나무 둥으로 꾸며진다.
3)사합원을 이루는 모든 건물은 중정을 향해서 개구부가 형성되는 반면 그 반대면인 후면으로는 개구부가 나    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 사합원의 단위가 반복하여 밀집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사합원은 오랜 기간 동안 도      시주거로 존재해 온 것이다.

2. 사합원의 구조방식

1)일반적으로 격식을 갖춘 사합원에는 목구조방식이 채용된다.
2)목재는 황송과 느릅나무가 주로 쓰인다.
3)건물에는 원형기둥이 사용되는데 종횡방향의 원형 기둥열이 교차하여 형성되는 간(間)이 사합원을 구성하    는 가장 기본적인 공간단위이다.
  ①간은 보통 전면 폭보다 깊이 방향이 긴 장방형이다.
  ②건물에서 공간의 깊이는 서로 인접한 도리의 중심 사이 수평거리인 보가(步架)에 따라 결정되는데 정방과      상방 등 주요건물에서는 5량4보가와 7량6보가의 구조가 많다.
  ③보가는 일반적으로 외주(外柱) 직경의 4배로 치수가 정해진다.
4)목구조에서 부재의 칫수를 정하는 기준은 첨주(擔柱), 곧 건물외주부 기둥의 단면 직경(D)이다.
  ①일반적으로 첨주의 높이는 l1D, 혹은 명간(明間)곧 당(堂)스팬의 8/10로 정해진다.
  ②중국주택은 세세히 규정된 법식(法式)에 따라 지어지며 따라서 통일되고 균형있는 형태를 갖게 된다.
  ③기둥의 전면 폭 스팬은 정방의 1장 1척(≒3.5m)에서 후조방의 9척(≒2.9m)사이이다.
  ④깊이방향 스팬은 구조방식이 대량식(拍梁式)인가 천두식(穿斗式)인가에 따라 달라지나 일반적으로 정방      의 1장 6척(≒5.lm)에서 후조방의 l장 2척(≒3.8m)에 이른다.
    - 대량식 구조는 중국 전통건축의 가장 보편적인 목가구형식으로, 기퉁 위에 보를 걸고 보 위에 동자주(        (童子柱)를 걸어 다시 단량(短梁)을 받는 방식이다.
    - 천두식 구조는 기둥에 수평부재를 통과시켜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방식이다. 천두식 구조에서         는 일반적으로 기둥이 가늘고 조밀하게 배치된다.
4)벽체는 비내력벽으로 산장(山墻)을 제외한 벽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창을 낸다.
5)내부공간은 격선(隔扇), 곧 목재 칸막이 장지문을 써서 자유롭게 구획할 수 있다.
   - 내부공간의 구획과 개방을 자유롭게 하고 내원으로 실내공간이 확산되는 개방적 평면(open plan)을 형성        할 수 있는 것은 목구조방식의 특성에 기인한다.

6)반면에 사합원은 외적으로 폐쇄성이 강하다.
  ①베이징을 포함한 중국 북부는 한랭한 기후로 특히 풍사(風沙)가 심하므로 이러한 특성은 기후조절에 적합      하다.
  ②벽체는 보온을 위하여 상당히 두껍게 구성되는데, 벽체 두께의 모듈(M)은 25×12.5×5.5cm인 벽돌의 규격       에 따라 12.5cm이다.
  ③정방의 산장은 50cm(4M), 부속동의 벅체는37.5cm(3M)두께로 정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합원은       외부에서 조적조의 단순한 매스로 보여진다. 그리고
  ④매스에 양 방향 경사지붕이 씌워지는데 그 경사는 30․정도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합원의 구조는 기둥 또는 벽돌 등 부재의 규격에 바탕을 둔 모듈화된 칫수체계를 가지고 있다.
목가구조와 육중한 조적 벽체를 갖는 구조특성에 따라 건물은 내부적으로 풍부하나 외부적으로 단순한 구성을 갖는다.
곧, 중정형 주택의 주요한 특성인 내적 개방성과 외적 폐쇄성이 구조방식을 통해서 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http://cafe.daum.net/LIFE1004 

'주거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건축사  (0) 2009.11.04
풍수지리 宅經  (0) 2009.09.24
가구의 역사  (0) 2009.08.31
중국 고대건축사  (0) 2009.08.03
한옥의 창호  (0) 2009.05.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