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한국사172

일제시대 사진 조선철도와 주요 지역도 1930년 4월 10일 발행. 보통학교 조선어사전 일본군 2사단 조선 수비대 사령부 도착장면 2006. 2. 11.
조선 주둔 일본군 朝鮮軍 駐箚사령부 (일본군 제 14사단)건물 (확실하지 않음) 1880년대부터 일본인들은 용산부근으로 속속 밀려들며 조선내 일본거류민단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1894년 청일전쟁이 발발하면서 조선 내에 일본군을 주둔시키기 시작했다. 1904년 러일전쟁이후 그 수는 급격히 증가했다. 1904년 4월 3일에는 서.. 2006. 2. 8.
남로당, 소련파 허성택 현재 사진 무 허성택 許成澤 1908년 함북 성진 출생. 1933년 모스크바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졸업. 귀국 후 농민조합조직활동 전개. 1948년 8월 당 중앙위원. 제 1차 내각 노동상. 1958년 숙청. 2006. 2. 8.
소련파 정치인 2 현재 사진 무 한빈 韓斌. 일명 彬 또는 世赤. 러시아명 미하일 1904년 블라디보스토크 출생. 1923년 모스크바동방노력자공산대학 속성과 입학. 1924년 5월 졸업. 블라디보스토크의 볼쉐비크당 산하 코르부로 (高麗局) 에 배치. 소련공산청년동맹 연해주 문화부장. 블라디보스토크 소비에트 학무부 정치문.. 2006. 2. 8.
[스크랩] 병자호란 저는 병자호란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남한산성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꼭 12월 10일까지 해야되요. 제발 알려주세요. 1.병자호란 조선의 친명 배금 정책과 함께 명의 장수 모문룡이 조선의 가도(평안도 철산 앞바다에 있는 섬)에 군대를 주둔시키자 후금은 크게 위협을 느끼게 되었다. 이 무렵 인조반정에 참여했던 이괄이 자신만이 이등공신에 책봉된 데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반정 실패 후 그는 후금으로 도망가 인조반정의 부당성을 호소하고 서인정권을 응징할 것을 종용하였다. 인조 4년(1626년), 왕자 시절부터 조선에 대한 강경책을 주장했던 홍타이지(태종)가 왕위에 오름으로써 후금의 조선에 대한 정책도 변하기 시작하였다. 호전적인 홍타이지는 조선의 친명 정책과 모문룡.. 2006. 2. 8.
연안파 정치인 1 현재 사진 무 최창익 崔昌益 1896년 함북 온성 출생. 1925년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졸업. 1928년 2월 서울에서 발생한 통일조선공산당사건으로 체포, 6년간 투옥. 1934년 중국으로 건너감. 남경, 무한, 연안 등 지에서 비밀조직활동 전개. 1942년 김두봉과 함께 산서성 태항산에서 조선독립동맹 설립. 부주석... 2006. 2. 8.
소련파 장령 5 현재 사진 무 방학세 方學世 (1912-1992) 소련에서 전문교육을 받음. 1936-1945년 소련정보기관 및 내무부에 근무. 1945년 10월 귀국. 당시 소련군 대위. 군사파견단 대표 자격. 1948년 3월 당중앙위원. 1949년 내무성 정치보위국장. 1951년 사회안전상. 2006. 2. 8.
소련파 정치인 1 현재 사진 무 박창옥 朴昌玉 소련거주. 하바로프스크조선사범대학 졸업. 교원. 1945년 10월 귀국. 허가이와 함께 소련파 거두. 1946년 8월 중앙위 상무위원. 1950년 선전부장. 1956년 8월 숙청. 2006. 2. 8.
연안파 장령 4 현재 사진 무 김창만 金昌滿 1907년 함경북도 ? 출생. 서울 중동중학교 졸업. 1928년 중국 중산대학 졸업. 연안에서 반일활동 전개. 1946년 귀국. 당 선전선동부장. 1947년 사동간부학교 교장. 1953년 황해남도 도당위원장. 1956년 교육상. 1956년 4월 당중앙 부위원장. 1958년 중앙위 상무위원. 1966년 숙청. 2006. 2. 8.
소련파 장령 4 남일 南一 1913년 6월 5일 함북 경원 출생. 1939년 9월 소련 타슈겐트사범대학 졸업. 소련 홍군 입대. 홍군 대위. 스탈린그라드방위전 참가. 사단참모장으로 승진. 바르샤바전투 참가. 1945년 소련군과 함께 귀국. 1946년 임시위원회 교육국 부국장. 1948년 3월 중앙위원회 위원. 1948년 8월 대의원. 1948년 9월 교.. 2006.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