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095 만족 전통가옥 만족전통가옥 1 만족전통가옥 2 2006. 2. 4. 중국 동북지도 중국 동북지역 년강수량 중국 동북지역 토지이용도 중국 지형도 2006. 2. 4. 중국 사합원 명나라 때 사합원 주거지역 북경 사합원 대문 북경 사합원 대문 북경 사합원 정원 북경 전통 사합원 사합원 사합원 사합원 공중에서 본 사합원 사합원 사합원 各式照壁 사합원 고조도 우아한 사합원의 정원 오래된 사합원 정원 우아한 사합원 정원 고풍스런 사합원 정원 정갈한 사합원 정원 화려한 사.. 2006. 2. 3. 미군전차 한국전 당시 미제 6전차대대 M46전차 한국전 당시 미제 70전차대대 M4A3E8 전차 한국전 당시 미제 73 전차대대 M46전차 2006. 2. 3. 중국역사지도 원나라 지도 몽고 통치 하의 중국 명나라 지도 명나라시기의 동북 강역도 중화민국 전도 2006. 2. 3. 북경지도 고대와 현대의 북경지도 2006. 2. 3. 만주국 기념장과 훈장 기타. 만주국 건국 기념장 만주국 건국神社기념장 溥儀大婚編號기념장 熱河토벌공로장 위만주국 건국神廟기념장 위만주국 휘장 위만주국 적십자 회원장 帝出乎震大典기념장 위만주국 종군기념장 柱國훈장 7급 위만주국 황궁 황제전용차. 카디락. 위만주국 황궁 청나라 강역도 2006. 2. 3. 만주지도 만주 강역도 만주, 간도 지역도 만주구과 주변 열강도 1937년 만주국 행정구역도. 성, 현공서소재지 현대중국 동북정치 현대 중국동북정치1 현대 동북 경제지도 청나라, 만주 1900년 지도 현대 만주지도 동북삼성 철도 2006. 2. 3. 소련군 대일작전 1945년 원동 소련군 지휘관들. 오른쪽으로부터 바실리예프, 말리노프스키... 만주의 일본군을 공격하는 소련군 소련군을 환영하는 동북 군중 여순을 점령한 소련군 할빈을 점령한 소련군 소련군 동북 공격도 2006. 2. 3. 동북의 일부 지방성시 지도 경박호 지도 경박호 관광지도 영안시 지도 도문시 지도 목단강 시가도 장춘시 지도 해림시 지도 2006. 2. 3. 중국지도 중국 문화지도 중국 건습지역도 위성으로 관찰한 중국 건습도 중국 농업분포도 중국 건습도 중국 동북 지형도 광활한 동북 대평원 중국 면화, 사탕원료 재배지역도 중국 밀생산 분포도 중국 벼 재배 지역도 중국 토지이용 구획도 중국 연강수량도 중국 하천도 1 중국 하천도 2 중국인민해방군 군구軍.. 2006. 2. 3. 중국 역사지도 명나라 강역도 원나라 지도 1. 몽고 제부諸府 원나라 지도 2. 몽고확장도 원나라 지도 3. 몽고 전성기도 원나라 지도 3. 몽고제국 강역도 청나라 지도 1. 청나라 전기 강역도 청나라 지도 2. 청나라 강역도 중화민국지도 2006. 2. 3. 중국지형도 및 기타 지도 중국 위성지형도 중국지형도 중국기후도 중국 사막분포도 중국농업생산 분포도 중국 민족분포도 중국 수계도 중국 자연, 문화유산도 중국 지형도 중국 행정도 중국 지형도 중국 지형도 중국 위성지형도 중국 소수민족 분포도 중국 지형도 중국 초원과 4대 목장지역도 중국 직파 분포도 중국 지형도 .. 2006. 2. 2. 만주국 연표 2006. 2. 2. 원세개의 아홉 부인 원세개 원세개의 아홉 부인 첫번째 부인 于씨 하남성인. 부잣집 딸. 문맹. 예절도 모름. 원세개는 그녀를 싫어했다. 맏아들 克을 출생한후 다시는 그녀와 동거하지 않았다. 주부로 대했다. 어느 신년연회석상에서 한 외국공사가 제1부인인 그녀에게 악수를 청하자 우씨는 놀라 소리지르며 손을 등뒤로 .. 2006. 2. 2. 중국 新軍 新軍군복. 연병장에서 부분 장교 합영 앞줄 왼쪽으로부터 王士珍, 풍국장, 원세개, 鐵良, 조곤, 言敦源, 뒤줄 왼쪽 두번째 단기서 신군 견장. 장교 3등, 9등급. 사병 3등급 참모관 군복 목관 군복 모표 견장 新武軍복을 입은 육군대신 蔭昌 신군기병 2006. 2. 2. [스크랩] 생활방식 생활 방식 음식 산동 사람들은 면 종류와 쌀(大米) 음식과 위주로 한다. 밥을 만드는 방법이 비교적 간단하다. 주로 쌀을 찌어서 만드는 것과 쌀 죽 등이 있다. 사람들은 밀가루로 각종 음식을 만든다. 밀가루에 효모와 물을 넣어 밀가루 단을 만든다. 그리고 나서 밀폐 발효시켜 비교적 작은 밀가루 단을 찌어서 익힌다. “만두(饅頭)”라고 부른다... 가져온 곳 : [红利创造] 글쓴이 : rukawa 바로 가기 2006. 2. 2. [스크랩] 담장문화 다시 보는 중국 중국인] 2. 속내 꼭꼭 감추는 '담장 문화' 사무실마다 높다란 칸막이…영역 침범은 금물 ▶ 베이징 도심에 밀집한 사합원들. 재개발 바람이 거세나 보존 상태가 좋은 것은 문화재로 보호되고 있다. 최근엔 외국인들이 즐겨 찾는 관광지다. [중앙 포토]베이징(北京)에는 유난히 담장이 많다. 평균 높이 11m의 붉은 담이 쳐진 자금성(紫禁城), 중국 지도부가 모여 사는 중난하이(中南海), 골목마다 사방을 메우고 있는 전통 가옥 사합원(四合院), 무장경찰이 지키는 각종 관공서 등은 모두 높은 담으로 꼭꼭 둘러싸여 있다. 베이징 북쪽엔 만리장성이 버티고 있다. 길이 6000㎞. 중국의 안전과 부(富)를 지키려 했던 거대한 벽이다. 사합원은 높은 담장에 파묻혀 있다. 담장엔 밖을 내다 볼 수 있는 창.. 2006. 2. 2. [스크랩] 중국의 대표적인 주거형태 四合院 四合院과 한옥 서 사합원은 중국의 대표적인 주거형태이다. 漢나라때 화북지방에서 발달하기 시작하여 중국의 대표적인 주거형태로 자리잡게 된 사합원은 한족漢族과 함께 중국전역으로 퍼져나가게 되었다. 지역적으로 그 곳의 자연환경과 사회환경에 맞도록 변형이 되기는 하였지만 중정을 중심으로 건물이 둘러싸고 있는 기본 구성은 지켜져 갔다. 이러한 유사성은 한족의 주거문화가 중국의 주거환경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합원은 중국 특히 한족의 문화적인 요체이다. 사합원에는 음양오행사상, 유교와 도교, 풍수사상 등과 같은 중국의 정신세계가 작용하였고 유교를 기반으로 하는 위계적 가족제도도 크게 작용하였다. 따라서 사합원은 단순히 살기 위한 도구만은 아닌 중국의 문화가 고스란히 녹아있는 문화의 총화이.. 2006. 2. 2. [스크랩] 중국의 금기문화(2) (그림은 금기문화와 관계 없음, 중국 연예인 조미)▷ 의식주 금기복식금기중국에는 "십리에서 사람을 알아보고, 백리에서 옷을 알아본다."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의복과 사회적 가치판단의 밀접함을 반영한다. 또, 중국인들의 의복의 색... 가져온 곳 : [中 華 大 酒 樓] 글쓴이 : Quan Bo Jiao 바로 가기 2006. 2. 2. 이전 1 ··· 194 195 196 197 198 199 200 ··· 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