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한국사

[스크랩] 박헌영 추가자료

by 8866 2006. 7. 14.
 

   공산주의 운동가 박헌영(朴憲永)

시대 항일기, 대한민국

 생몰년 1900-1955()

 본관 영해(寧海)

 활동분야 공산주의운동가

  

1. 출신과 교육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신양리 태생. 본관은 영해(寧海).

쌀장사를 하던 아버지 현주(鉉柱)와 소실인 어머니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고향에서 한문을 배우다 12세 되던 해인 1912년 예산군 대흥면 대흥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15년 졸업하였다. 그해 경성고등보통학교(현 경기고등학교)에 입학하여 재학중에는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YMCA) 영어반에서 영어공부를 열심히 하였다.

1919년 경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계속 영어공부를 하는 한편, 승동교회에 다니면서 미국유학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2. 상해에서 고려공산당 입당


1920년 9월 3․1운동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조직되어 있어 민족운동의 거점이었던 중국 상해(上海)로 갔다. 상해에서도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 부설강습소에 다니면서 영어공부를 계속하는 한편, 임원근(林元根) 등과 알게 되었다. 이 당시 임원근․김단야(金丹冶)․최창식(崔昌植) 등과 함께 김만겸(金萬謙)의 이르츠크파 고려공산당 상해지부에 입당하였다. 정식으로 공산당에 입당한 이후 프랑스조계에 위치한 사회과학연구소에서 공산주의 선전팜플렛을 번역하는 일에 열중하였으며, 고려공산청년동맹 책임비서에 취임하였다.

1921년에는 허정숙(許貞淑)의 소개로 뒤에 국내에서 결혼하게 되는 두살 아래의 주세죽(朱世竹)을 만나 열애에 빠지기도 하였다.

1921년 늦가을 김단야․임원근과 함께 극동인민대표자회의에 참석키 위하여 모스크바로 가, 다음해 1월 고려공산청년동맹 대표로 참가하였다


3. 국내 공산주의운동


1922년 4월에 김단야․임원근과 함께 국내공산당 조직을 위해 귀국하다가 일본경찰에 잡혀 징역 1년6월의 형을 선고받고 복역하였다.

1924년 1월 만기출옥한 직후 그해 2월 결성된 신흥청년동맹에 가입하여 김찬(金燦)․신철(辛鐵) 등과 청주․대구 등 전국 28개 도시를 순회하며 〈청년의 사회적 지위〉․〈식민지청년운동〉 등의 주제로 강연을 하였고, 기관지 《신흥청년》의 상무위원으로 활동하였다. 같은해 4월 허헌(許憲)이 사장으로 있던 《동아일보》에 기자로 입사하였다. 같은 시기에 국내 청년단체의 통일조직인 조선청년총동맹이 창립되자, 한신교(韓愼敎)․주종건(朱鍾建)․최순탁(崔順鐸)․강제모(姜齊模) 등과 함께 중앙검사위원으로 선임되었다.

1924년 9월 홍증식(洪增植)의 추천으로 《조선일보》 사회부로 자리를 옮겼으나, 10월 15일 신일용(辛日鎔)의 〈조선과 러시아의 정치적 관계〉라는 사설이 문제가 된 《조선일보》 제3차정간사건으로 임원근․김단야와 함께 해직되었다.

1925년 국내의 공산당 조직을 결성하기 위하여 국내 공산주의운동의 한 핵심분파로 박헌영이 속해 있던 화요회(火曜會)계가 중심이 되어 4월 20일에 전조선민중운동자대회, 4월 15일 전조선기자대회를 개최한다고 발표하여 일본경찰의 관심을 흩어놓고, 4월 17일 김약수(金若水)․김재봉(金在鳳)․윤덕병(尹德炳)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창당대회를 개최하여 마침내 국내 공산당 조직을 창설하게 되었다.

1925년 4월 18일 고려공산청년회를 결성하고 책임비서직을 맡아 본격적인 조직활동을 전개하였으나, 그해 11월 30일 처 주세죽과 함께 제1차조선공산당사건으로 일본경찰에 잡혀 복역하게 된다. 공판 도중 미친 사람을 가장하여 1927년 11월 병보석으로 출감, 다음해인 1928년 11월 국내에서 탈출하여 블라디보스토크 한국인 학교에서 교사생활을 하였다.

1929년 6월 모스크바로 옮겨 동방노력자공산대학에서 2년간 수학하였으며, 1932년 1월 상해로 가서 김단야와 접선하여 김형선(金炯善) 등과 함께 활동하면서 《코뮤니티》라는 기관지를 제작, 국내에 배부하다가 1933년 7월 상해 일본영사관에 잡혀 경기도 경찰부로 압송, 치안유지법․출판법 위반으로 기소, 6년형을 선고받고 복역하였다.

1939년 만기로 출소하여 김삼룡(金三龍)․정태식(鄭泰植) 등과 함께 세칭 경성콤그룹을 조직하는 데 지도역할을 하였으나, 1942년 12월 일본경찰이 검거망을 좁혀오자 광주로 피신하여 김성삼(金成三)이란 가명으로 기와공장 인부로 취직하여 몸을 숨겼다.

4. 해방 후 조선공산당 구성

1945년 8월 15일 광복이 되자, 8월 19일 서울로 올라와 광복 다음날 결성된 장안파 공산당에 대항하여 8월 20일 김형선․이관술(李觀述)․김삼룡․이현상(李鉉相) 등과 함께 회합을 가지고 공산당 재건에 주력하였다.

9월 3일 세칭 장안파와 재건파가 연석회의를 가지고, 이를 통합한 조선공산당의 중앙기구를 구성하여 책임비서에 취임하였다. 이 당시 그는 소위 8월테제, 즉 〈현 정세와 우리의 임무〉라는 테제를 발표하여 당시의 혁명단계를 민주주의 혁명단계로 규정하여, 노동자뿐 아니라 농민 및 양심 있는 지주․자본가와도 연합하여 혁명전선을 결성할 것을 주장하기도 하였으나, 실천에 있어서는 모험주의적 노선에 편향되어 연합전선과는 거리를 보이게 되었다.


5. 좌우합작

 1945년 말 모스크바3상회의의 한반도 신탁통치 실시 결정을 둘러싸고 국내의 정치세력은 우익은 반탁,좌익은 찬탁으로 좌우가 극렬히 대립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민주주의 임시정부 수립을 논의하기 위하여 미소 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다. 그러나 미소 공위는 단 하나의 합의도 이루어내지 못하고 휴회하였으며 이후 남한정국에는 크게 세 가지 움직임이 나타난다. 첫째,중경 임시정부 추대운동을 폈던 일부 극우세력들은 반소반공활동을 강화하면서 단독정부 수립운동으로 나아갔다. 이승만의1946년 6월 3일 정읍 발언은 이면에서 진행되던 단정 수립운동을 일반에게 공언한 것이었다. 둘째, 조선공산당 등 좌익세력은 미군정의 탄압과 분열정책으로 '신전술'이라는 강경노선으로 선회하였다. 정판사사건을 빌미로 미군정이 좌익세력을 탄압하자 조선공산당은 신전술을 채택하였으며,이는 민중의 불만과 결합되어 9월 총파업,10월 인민항쟁으로 나타났다. 셋째, 좌우합작에 의해 민족국가 건설을 도모하는 통일전선세력이 나타났다. 이들은 미소 공동위원회가 휴회되고 좌우대립이 격화되자, 좌우가 협동하여 이 민족적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좌우합작운동은 미군정의 정책과 부합되었기에 초기에는 미군정의 지원 아래 추진되었다.


6 좌우합작의 추진

1946년 5월에서 1947년 12월까지 진행된 좌우합작은 미군정의 주도 아래 주로 중도좌파와 중도우파라고 불리는 중간세력을 결집하여 정부를 수립하려는 노력이었다.

미군정은 당시 첨예화된 좌우익의 대립을 완화시켜 정치적 안정을 이루어야 할 필요성과 좌우익세력 가운데서 온건세력을 포섭함으로써 극좌세력을 고립시키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었다. 당시 미군정은 재개될 미소 공동위원회에거 중도 좌우 정치세력을 중심으로 임시정부를 구성하게 하고,이들이 연합하여 과도입법의원에 참여하여 민주적인 개혁안을 만들어 실천함으로써 남한의 일반 대중이 미국의 정책을 적극 지지하게 하고자 하였다.이러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미소 공동위원회에서 소련에 압력을 가해 미국의 입장을 강화하려는 것이었다. 좌우연합을 통해서 토지개혁을 실시함으로써 자신의 지위에 만족하는 소농계급을 창출함으로써 남한의 정치안정에 긴요한 안정된 중간계층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란 것이 하지의 구상이었다.

이와 더불어 미군정은 만약 미소 공동위원회에서 소련과의 협상이 여의치 못할 경우 이들 세력을 중심으로 단독정부를 수립하고자하는 의도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의도와 더불어 미군정의 좌우합작 지원은 좌익을 분열시키고, 극좌세력을 고립시키는 효과를 노린 것이기도 하였다. 미군정은 한편으로 좌우합작운동을 지원하면서도 당시 가장 강력한 좌익세력이었던 조선공산당을 조선정판사 위조지폐사건을 계기로 탄압하고, 박헌영을 비롯한 주요 간부들을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좌우합작이 명실공히 이루어지려면 조선공산당의 동의와 참여가 절대적으로 요청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조선공산당을 탄압한 미군정의 또 다른 의도에는 좌익세력을 온건세력과 극좌세력으로 분열시키려는 목적이 감추어져 있었던 것이다.

한편 좌우합작 추진세력들은 미소 공동위원회의 결렬과 좌우익의 대립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양극단을 제외한 좌우익을 총망라하여 통일정부 수립의 기초를 닦아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들은 좌우합작운동의 직접적인 목표로 미소 공동위원회가 휴회하자 광범한 민족통일전선의 형성을 과감히 전개하여 민족분열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또한 합작파에게 좌우합작은 동족 간의 내전을 막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안재홍은 "만일 우리 조선에서 적정 타당한 합작으로 하루빨리 통일정부를 만들어내지 아니하면 우리의 조국에는 다시 중대한 위기가 찾아올 것"이라고 경고하고, 극좌와 극우로 편향되면 "내란적 항쟁의 피"를 흘릴 가능성도 있다고 보았다.

이렇게 미군정의 의도와 좌우합작 추진세력의 목적이 맞아떨어졌기 때문에 역사적인 좌우합작운동은 전개되었다. 미군정은 온건좌파인 여운형과 온건우파인 김규식의 역할에 주목하면서,하지 중장의 정치고문이었던 버치 중위가 막후역할을 담당하게 하였다. 6월 초까지는 버치가 여운형, 김규식과 비공식적으로만 협의하였다. 6월 14일 여운형이 허헌을 끌어들이고 김규식이 원세훈을 협의에 참여시켜서 좌우합작의 원칙에 관하여 쌍방간 상당한 의견 접근을 보았다. 이후 김규식과 여운형은 수시로 회합을 가졌으며, 6월 26일 두 사람은 장시간 요담을 통하여 거의 일치된 의견을 갖게 되었다. 그 동안 우익과 좌익 사이의 화해를 주선하기 위해 노력해 왔던 민족혁명당의 김원봉도 김규식과 회담하였다. 이제 좌우익과 각 정당 단체의 지지가 중요한 문제였다.

좌우합작운동에 대하여 우익은 정당이나 인물에 따라 조금씩 의견을 달리하였으나, 집단적으로 반대하지는 않았다. 조선공산당을 포함하여 좌익도 초기에는 적극 지지한 것은 아니지만 좌우합작운동에 참여하는 데 그렇게 부정적이지 않았다. 그런데 좌우합작이 어느정도 무르익자 미군정은 입법기관 수립문제를 들고 나왔다. 하지는 6월 30일에 공식적으로 좌우합작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미군정은 이를 기반으로 입법기관을 발족하려고 한 것이었다. 한민당은 입법기관 설치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공산당은 즉각 절대반대 입장을 표명하였다. 입법기관은 통일적 민주주의 임시정부가 수립된 이후에 설치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입법기관문제로 좌우합작은 큰 장애에 봉착하게 되었으며 좌익 내부의 내분은 확대되었다.

7. 역사적 경험으로서의 의미

  이렇게 좌우합작운동은 그 의도와는 상관없이 극우, 극좌세력 모두로부터 배척을 받게 되었다. 이로써 좌우합작운동은 좌우익이 배제된 중간파세력의 결집에 그치게 되며 실질적인 힘이 결여된 채 유지되었다. 사실 좌우합작을 배후에서 후원한 미군정의 버치는 좌우합작을 추진하면서, 한국에서 중간파를 강화하면 좌익과 우익을 유인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그의 생각은 잘못이었다. 중간파는 대중의 조직적 기반이 없는 반면에 좌익은 강력한 조직과 대중의 지지에 뿌리를 두고 있었으며, 우익은 지주와 관료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실질적인 힘을 가지고 있는 좌익과 우익이 없는 좌우합작은 명분뿐인 운동에 지나지 않았다. 또한 좌우합작운동이 중앙을 무대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지방에까지 확산되지 못하여 민중적 기반을 구축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렇게 본래 좌우합작세력이 추진한 의도와는 달리 좌우합작운동이 실질적인 좌우익세력의 합작에는 실패하고 있었지만, 온건좌파를 좌우합작에 끌어들임으로써 효과적으로 극좌세력을 고립시키려 했던 미군정의 목적은 달성되고 있었다. 더욱이 좌우합작위원회의 공동대표였던 여운형의 죽음은 좌우합작에 참여하고 있던 좌익계 인사들을 하나의 정치세력으로 결집하지 못하게 하고 분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좌우합작 노력이 비록 실패로 끝나고, 남북에 분단정부가 들어서고 말았지만 그 운동이 지닌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큰 것이었다. 일제하 민족해방운동 과정에서 싹트기 시작한 좌익과 우익 정치세력은 해방과 건국과정에서 뚜렷하게 표출되었으며 다양한 쟁점들에 의해 분열과 대립을 지속하였다. 또한 이것이 미소의 분할점령이라는 국제정치의 역학과 맞물리면서 더욱 더 확대 심화되어 갔다. 따라서 자주적인 통일국가 건설은 어느 시점에서는 좌우의 연합을 통해서만 가능하였다. 그러한 노력의 일환이 좌우합작이었고, 남북협상이었다. 당시 미소 간 대립이 좌우합작 노력에 구조적인 제약을 가하였고, 미군정의 의도를 관철하기 의해 추진되었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좌우합작운동은 민족적 위기를 타개하고 자주독립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뜻 있는 역사적 경험이었다.


8 이승만과 분열 후 독자노선

이승만이 미국에서 귀국하여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창설하자 10월 23일 조선공산당을 이끌고 이에 참여하였으나 11월 16일 친일파를 우선적으로 숙청하여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면서, 선건국 후친일파숙청을 내세운 독립촉성중앙협의회에서 탈퇴하여 이승만과의 연합을 포기하게 된다.

1945년말 모스크바삼상회의 결과 한반도에 대한 신탁통치안이 발표되었을 때 조선공산당이 찬탁으로 노선을 결정하면서, 1946년 1월 8일 그는 《뉴욕타임즈》와의 기자회견에서, 소련만의 신탁통치를 찬성하며, 조선은 소련의 연방국으로 편입될 것을 주장했다는 시비로 이의 사실 여부를 둘러싸고 물의가 빚어지기도 하였다.



9. 북한에서 남로당 활동

1946년 2월 15일 좌익세력의 총결집체인 민주주의민족전선이 결성되자, 여운형(呂運亨)․허헌․김원봉(金元鳳)․백남운(白南雲)과 함께 의장단의 일원으로 선출되는 등 활약하였다. 이해 7월 12일 이른바 조선공산당 위폐사건을 계기로 좌익세력에 대한 탄압국면이 전개되면서 9월 6일 미군정이 박헌영 등 공산당 핵심간부에 대한 검거를 감행하려 하자, 하루 전인 1946년 9월 5일 관 속에 누워 영구차 행렬로 자신들을 위장, 북한으로 탈출하게 되었다.

그뒤 1946년 11월 3일 조선공산당․조선인민당 및 남조선신민당이 합쳐 남조선노동당으로 결성되자 부위원장에 취임하였으며, 계속 북한에 머물면서 이른바 박헌영 서한을 통해 남로당의 활동을 지도하였다.

1948년 남한에서 단독선거에 의한 총선거가 실시되자 지하선거를 실시하여 8월 29일 해주에서 남한선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360명을 선출하는 데 주도적인 활동을 하였다.

1948년 9월 9일 북한에 정권이 수립되자 부수상 및 외상에 취임하였으나, 세력기반이 남한에 있는 그는 소련을 등에 업은 김일성에게 실권을 빼앗겼다.

1950년 1월 󰡐남로당의 한국화󰡑․󰡐남로당지하당의 남북통일에 관한 정책입안의 건󰡑 등을 작성하도록 지시하기도 하였으며, 1950년 6․25가 발발하자 10월 인민군내에 총정치국을 창설하여 인민군 중장으로 참전하였다.

6․25 발발 원인에 관한 북한의 남침설 중의 한 갈래로 박헌영이 자신의 지지기반인 남한을 해방하여 자신의 세력을 만회하려 했다는 주장도 있다.

10. 숙청


1953년 김일성에 의하여 남로당계 숙청이 감행되면서 8월 3일 체포되어 평안북도 철산군내의 산골에 감금되어 고문을 받다가, 1956년 7월 19일 경, 평양 근교에 있는 한 야산에서 북한의 내무상이었던 방학세에 의해 처형되었다고 한다. 박헌영의 최후에 대한 또 다른 증언은 그가 1955년 12월 15일 재판이 종료된 직후 교수형에 처해졌다고 하기도 하고. 인터뷰는 박헌영의 죽음에 관한 것은 물론 아니다. 박헌영에 대한, 조선공산당 그리고 남조선 노동당(남로당)에 대한 평가를 의도하지도 않는다. 오늘 우리가 만날 사람은 단지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애써 되살리고 싶어하는 사람의 아들일 뿐이다. 아들의 이러한 소박한 희망은 그러나 이런 저런 이유로 무척이나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 지금도 그렇고, 또 앞으로도 당분간은 그럴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정치사 Ⅰ(송남헌, 성문각, 1980)

박헌영(박갑동, 도서출판 인간, 1983)

한국공산주의운동사Ⅰ~Ⅴ(금준엽․금창순, 청계연구소출판국, 1986). 〈금남식〉

출처 : 동아시아9조
글쓴이 : 윤두영 원글보기
메모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