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한국사

[스크랩] 박헌영(1900 ~ 1955) : 성장과 상해망명 시절

by 8866 2006. 7. 13.
일제시대 독립운동 과정에서 사회주의운동은 민족주의운동과 더불어 양대산맥을 이루어 왔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사회주의운동에 투신하여 조국독립 혹은 계급투쟁에 앞장서온 대표적인 사람이라면 당연히 박헌영을 첫 손가락에 꼽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박헌영은 약관의 나이에 이르크추크파 고려공산당에 입당(1921년)한 것을 시작으로 제1차 조선공산당 고려공산청년회 책임비서(1925년)를 비롯 1939년에는 일제 말기의 최대 공산주의 써클이였던 경성콤그룹의 책임자로 활동하였습니다. 또한 김일성과 함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설하는 등 한국 공산주의 운동사에서 가장 정점에 서있는 인물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남북분단 후 냉전체제 하에서 남한에서는 악질적 빨갱이로, 북한에서는 미제의 간첩으로 숙청되어 올바른 평가를 받지 못하였던 것이 사실입니다. 흥미진진한 인물, 박헌영의 사회주의운동과 논란이 되고 있는 박헌영 미제간첩설에 관해 연재하고자 합니다.


1. 성장과 사회주의운동의 투신과정


박헌영은 1900년 5월1일 충남 예산군 신양면 신양리에서 미곡상을 하던 아버지 박현주(朴鉉柱)와 어머니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이씨는 박헌영의 본처가 아닌 후처였는데 1889년 흉작때 쌀 몇섬에 첩으로 삼았다고 한다. 따라서 박헌영은 출생적으로 차별받던 서자였고, 이점은 훗날 박헌영이 차별에 대한 저항정신을 갖도록 하여 그가 공산주의 사상을 갖게된 동기가 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박현주는 이씨에게 신양리 시장거리에 있는 작은 여관을 사주고 모자가 생활하도록 해주었는데 따라서 박헌영은 어린시절에 서자라고 차별은 받았겠지만 배고픈 적은 없었던 듯하다.
박헌영은 7∼8세 때부터 서당에서 한문을 배우기 시작했고 12살 되던해(1912년) '신식교육'을 하는 대흥국민학교가 설립되자 2학년에 편입하여 1915년 졸업하였다.그해 4월 경성고등보통학교 (조선인 중등학교)에 응시, 합격하였다. 이 시기 그가 가장 좋아했던 과목은 영어였는데 학교에서의 수업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어서 YMCA 영어강좌에 다니기도 하였다. 1919년 3·1 독립운동에 참가하고 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미국유학을 목표로 미국인 선교사에게 영어를 배우기도 하였다. 1920년 9월 서울에서 조선에스페란토협회 창립에 참여하고 사교부원이 되었는데 얼마 후 일본 도쿄(東京)로 밀항하였고 그해 11월 다시 상해로 망명하였다.
상해로 망명한 박헌영은 상해 YMCA 부설 영어강습소에 다니는 한편, '이르크츠크파' 고려 공산당 상해지부 위원인 김만겸(金萬謙), 안병찬(安秉讚)이 주재하는 사회주의 연구소에서 마르크스 이론을 공부하였는데 이 시기부터 그가 공산주의자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상해 망명시절 그와 가장 친했던 동지는 임원근(林元根)과 김단야(金丹冶) 였다. 이 세 사람은 이르크츠크파 고려공산당에 입당하고 1921년 7월에 고려공산청년동맹을 결성하였는데 박헌영이 그 책임비서가 되었다.
1921년 코민테른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에서는 극동인민대표자대회를 개최하였는데 박헌영은 임원근, 김단야와 더불어 고려공산청년동맹의 대표자격으로 참석하였다. 이 대회의 성격은 민족통일전선의 결성을 호소한 것으로 상해파와 이르크츠크파의 대립을 조정하려는 의미도 있었다. 그러나 양파는 자파만이 조선의 유일한 전위당이라는 '정통성'을 주장하며 합당에 반대하였으므로 이후 코민테른은 양당을 1922년 12월 해체해 버렸다.

<아래사진> 전조선 민중운동자대회에 참가했다가 해산되고 준비사무소에서 경관대에 의해 밖으로 밀려나는 참가자들(조선일보, 1925.4.21) 이후 박헌영이 가담했던 화요파 공산주의자들이 대회를 주도하였다. <역사학연구소 제공>




출처 : 계기태의 가까이 있는 역사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