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미
<정의>
논이나 밭을 매는 데에 쓰는 연장.
<개설>
호미는 쇠날의 앞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하며 한쪽에 가느다란 목이 휘어 꼬부라지고 그 끝에 둥근 나무토막의 자루를 박은 김매는데 쓰는 농기구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호미는 쇠날의 앞은 뾰족하고 위는 넓적한데, 이 한 끝에서 목이 휘어 꼬부라져서 넘어간 부분에 둥근 나무토막을 박아 자루로 삼는 농기구이다. 호미의 모양은 그것이 사용되는 지역의 자연적인 조건과 농업경영의 특질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데, 우리나라 호미의 형태는 크게 보습형, 낫형, 세모형 등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보습형은 쟁기의 보습처럼 날끝이 뾰족하고 위는 넓적한 것으로 날 끝을 흙에 박아 젖히면 흙이 쉽게 뒤집어져서 논을 매는 데에 적당하여 논호미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루에 흙이 묻으면 매우 미끄러우므로, 나무자루 대신 짚을 감거나 나무자루에 베헝겊을 둘러서 쓰는 일도 있다. 보습형호미는 경기도?충청도를 비롯한 중부지방과 전라북도의 일부 지역에서 많이 사용한다. 낫형은 날이 낫처럼 너비에 비하여 길이가 길며 그 끝이 날카로워 자갈 등의 저항물이 많은 데에서 쓰기에 편리하여 밭호미라고도 부르고 주로 경상남도?제주도?전라남도 도서지방 및 산간지대에서 많이 사용한다. 세모형은 장삼각형으로서 양변에 비하여 바닥의 길이가 긴 호미로 우리나라 호미 중에서 날은 물론 자루도 제일 길다. 이러한 장점으로 보리?옥수수?밀과 같이 이랑이 넓은 밭의 풀을 매는 데에 편리하지만, 흙을 떠 엎는 힘이 약하여 논에는 적당하지 않다. 이 호미는 자루가 길어 서서 작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세모형 호미는 우리나라의 북부지방에서 많이 쓰인다.
<사회문화적 의의>
보습형 호미(무게 400g 내외)로는 남자 한 사람이 하루에 300여 평의 논을 맬 수 있으며, 날은 해마다 벼려서 쓴다. 논농사에 있어 논을 매는 일은 가장 힘들고 어려운 일이므로 이는 보통 두레조직을 이용하거나 품앗이로 한다. 세 번째 논매기가 끝난 뒤에는 ‘호미씻이’ 혹은 ‘풋구 먹는다’, ‘초염 먹는다’고 하여 농사일의 한 고비가 지난 것을 자축하기 위하여 음식을 장만하여 농악을 울리며 하루를 쉰다.
<유사관련용어>
호맹이, 호메이, 호무, 홈미, 호마니, 허메, 허미, 희미
출처: 사이버문경새재박물관
호미
우리 농촌 정서에 꼭 등장하는 호미. 국어사전에는 ‘김을 매는데 쓰는 농기구의 하나로 끝이 뾰족하고 위가 넓적한 세모꼴 쇠날에 가는 목이 휘어 꼬부라지고 둥근 나무토막의 자루가 달림’이라고 했고 방언으로 ‘호맹이’, ‘호마니’, ‘고맹’ 등으로 부른다.
호미가 언제부터 쓰였는지 정확한 기록이 없으나 농사일에서 호미는 가장 쓰임이 많았던 농기구중 하나였다.
특히 밭에서 김을 매고 풀을 뽑는데, 또 땅을 파서 씨앗을 묻고 흙을 덮는데 쓰임새가 많아 호칭과 이름도 많았다.
흙을 파는데 흙밥을 잘넘기는 것은 ‘배부른 호미’, 긁기가 좋은 ‘등굽은 호미’, 잘도 들어간다 ‘밑빠진 호미’, 도라지나 나무뿌리 줄기를 캐는데는 ‘거위목 호미’, 돌밭에 잘어울리는 ‘날세운 호미’, 젖먹이 손바닥만 하구나 ‘애기호미’, 힘좋은 남정네가 쓰는 ‘머슴호미’ 등 종류도 많다.
필자가 1988∼1990년까지 소백산맥을 답사 취재하면서 어느 화전민 집에 들렀는데 10자루가 넘는 호미가 가지런하게 꽂혀 있어 신기로움을 느꼈다.
화전민 말로는 봄에 씨앗을 묻는 호미가 있고, 잔풀이 나면 밭을 매는 호미, 고랑 흙을 파 북을 주는 호미, 도라지 캐는 호미, 감자 캐는 호미, 큰풀 뿌리를 잘라내는 호미 등 쓰임에 따라 다르다고 했다.
비옥한 들녘에서 농사를 짓는 농부들은 밭을 매고, 논을 매고, 고구마나 감자를 캐는 정도의 쓰임이 있지만 산골 비탈진 화전민들의 호미 쓰임새는 크기도 달랐다.
호미를 가리켜 ‘거위목’이라고 한다.
호미 끝은 부리를 닮았고, 나무자루하며 세심히 관찰을 해보면 놀랍도록 거위목을 닮은 꼴이다.
호미는 거위가 먹이를 찍어 먹는 것처럼 생겼고, 그런 동작으로 땅을 파는 모습이 된다.
호미의 기원은 초창기 구부러진 나무를 끝을 깎아 땅을 팠을 것이고, 2000년전 초기 철기시대부터 쇠로 만든 호미가 쓰여진 것으로 알려졌는데, 세월의 변천에 따라 형태가 많이 달라졌을 것으로 보여진다.
출처: 충청타임즈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룡강성 농, 림, 목축업 분포도와 지형도 (0) | 2009.11.01 |
---|---|
밀 재배의 역사 (중국) (0) | 2009.10.20 |
중국 농기구 변천사 (0) | 2009.10.20 |
디딜방아 (0) | 2009.10.17 |
벼농사의 기원 (0) | 2009.08.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