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딜방아
발로 디뎌 곡식을 찧는 방아.
옛 농구 중 알곡을 내는 도구로는 돌확·맷돌·매통·절구·디딜방아·연자매·물방아·물레방아 등이 있다. 방아의 주된 기능은 바수기·찧기·갈기·빻기·치기 등이다. 디딜방아는 주로 알곡과 가루를 내는 데 쓰였고 그 원형은 석기시대의 연석(軟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연석은 돌확과 절구의 두 형태로 발전했는데 절구에서 디딜방아·물방아·물레방아 등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벽화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 보아 고대사회에서도 많이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디딜방아는 방아와 확으로 이루어진다. 땅을 움푹 파서 홈파진 절구확을 묻어 놓은 것을 확이라 하며, 방아는 나무로 만들어져 두 다리 또는 외다리로 되어 있다. 디딜방아는 보통 2명이 딛는데 1명이 방아에 올라서서 힘을 주면 다른 1명은 계속 확에 알곡을 집어넣는다. 3명까지도 올라갈 수 있고 넘어지지 않도록 위에서 늘어뜨린 방아줄을 붙잡고 방아를 찧는다. 협동이 잘 되야 효율성도 높고 힘이 적게 들며, 일할 때는 방아타령을 불러 신명을 돋우기도 한다.
1930년대 디딜방아 함흥
방아의 역사는 선사시대로 거슬로허 올라간다.
처음에는 갈돌과 갈판 을 쓰고 그 다음은 절구를 쓰고 그 다음은 디딜방아 그 다음은 물레방아를 쓰는 과정을거쳤다.
두 다리 디딜방아는 여러 명이 힘을 합쳐서 찧을 수 있다.
디딜방아의 명칭들로는 괴밑대, 몸체, 공이, 쌀개, 확, 볼씨,다리 등이 있다.
디딜방아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두 다리 방아라는 사실. 두 다리 방아는 말 그대로 발을 딛는 방아다리가 두 개다. 두 다리 방아는 두 서너명이 함께 힘을 합해 방아를 찧을 수 있기 때문에 외다리 방아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두 다리 방아는 오직 한국에만 있다. 디딜방아의 종주국인 중국에서도 외다리 방아 두 개를 놓고 방아를 찧으면서 두 다리 방아는 생각조차 못했다. 두 다리 방아는 따라서 우리 민족의 독창적인 발명품이다.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 조상들이 방아를 생명체 인격체로 생각했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다. 방아를 사람의 몸체로 여겨 방아의 각 부분을 방아머리, 방아허리, 방아다리, 방아가랑이라고 불렀다. 그리고 사람의 행동을 놓고 코방아, 입방아, 엉덩방아라고 부르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고구려고분벽화 속의 방앗간
평양역전벽화분의 앞방 벽에 남아 있던 다양한 벽화제재 가운데 앞방 동벽에 그려졌던 부엌과 발방아 찧는 모습은 보존상태가 극히 불량하여 모사선화로도 그 형태를 온전히 이해하지 못할 정도이다.
사람 머리 부분의 위치와 디딜방아의 기본구조를 알게 하는 외관선의 흐름을 통해 본래의 벽화에는 한 사람은 디딜방아의 뒤쪽 발판을 밟고 있고, 전혀 형체가 남지 않은 다른 한 사람은 디딜방아 공이 부분 쪽에 쪼그리고 앉아 곡식을 한줌씩 확 안으로 집어넣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4~5세기 당시 평양일대의 주민들이 사용하던 디딜방아의 구체적인 형태와 사용법은 357년의 묵서명을 지니고 있는 안악3호분의 방앗간 그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평양역전벽화분 방앗간
안악3호분 동쪽 곁방 서면 북측에 그려진 방앗간 건물 안에는 두 사람의 시녀가 디딜방아를 이용하여 곡식을 찧고 있다. 한 사람의 시녀는 허리를 약간 구부린 자세로 오른쪽 발은 약간 내리고 왼쪽 발은 방아의 대에 올려놓은 두 팔을 들어 흔들며 앞의 시녀에게 어떤 말을 건네는 듯이 보이며 다른 한 시녀는 방아의 공이 쪽에 곁으로 서서 두 손에 체로 보이는 도구를 든 채 앞의 시녀의 말을 듣는 듯하다.
뒤의 시녀는 혹 체로 곡식알을 일면서 돌조각이나 모래를 골라내고 있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방아 공이 아래 확의 둘레는 네모지고 구멍은 둥글다. 체를 든 시녀의 머리 앞에 붉은 글씨로 대(碓)라고 써 있다.
안악3호분 방앗간
중국의 디딜방아 脚踏碓
汉代加工谷物有了新的发展,除了先秦已有的杵臼以外,先后出现了脚踏碓(“践碓”)、畜力碓和水力碓,劳动强度逐渐减轻,而舂米效率却大大提高。脚踏碓在汉代应用已很普遍。西汉末年的哲学家桓谭说脚踏碓的效率十倍于手工的杵舂。这块画像砖完整而精细地刻画出脚踏碓的结构和操作景象。
舂米画像砖
汉代舂米画像石,1955年四川彭山出土。表现粮食加工场上四人相互配合用石碓舂米的情形。这种舂米方法直到20世纪下半叶还广泛存在于中国农村。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 재배의 역사 (중국) (0) | 2009.10.20 |
---|---|
호미 (0) | 2009.10.20 |
중국 농기구 변천사 (0) | 2009.10.20 |
벼농사의 기원 (0) | 2009.08.03 |
중국농업지도(1948판) (0) | 2009.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