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중국사

[스크랩] 고구려 왕조 계보와 각 왕조의 역사 연표 입니다.

by 8866 2006. 9. 27.


^^고구려 왕조 계보와 각 왕조의 역사 연표 입니다.^^                           

^^1대 동명성왕 (BC58년 ~BC19SUS)
성은 고, 휘는 주몽. 동부여의 금와왕의 맏아들.^^
대소태자의 모해를 피하여 압록강 연안인 졸본천에 이르러 나라를 세우고 고구려라 함 ^^

^^2대 유리왕 (BC19년~18년)
기원전 19년에 어머니 예씨로부터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졸본부여에서 남쪽으로 내려가 아버지를 만나 태자로 인정받고 고구려 제2대 왕이 됨 ^^
기원전 17년에 계비인 치희를 그리는 《황조가》를 지음
3년에는 도읍을 홀본에서 국내성으로 옮기고 위나암성을 쌓음 ^^

^^
3대 무신왕 (4년~44년)
유리왕의 셋째 아들.
14년에 태자로 책봉됨
22년에 동부여를 공격하여 고구려에 병합시킴
그 해 개마국을 쳐서 국토를 살수 이북까지 확대함 ^^
32년에는 왕자 호동을 시켜 낙랑군을 정벌함 ^^

^^4대 민중왕 (44년~48년)
대무신왕의 아우.
대무신왕이 죽자 태자 해우가 어리므로 대신 즉위함
유언에 따라 민중원 석굴에 장사를 지냄 ^^

^^5대 모본왕 (48년~53년)
대무신왕의 아들.
49년에 한나라를 공격하였으나 요동태수 채동의 제의로 화친을 맺음
성품이 포악하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백성들의 원성을 들음
결국 신하 두로에게 피살됨 ^^

^^6대 태조왕 (47년~165년)
유리왕의 손자이다.
56년에 동옥저를 정벌, 동으로는 창해, 남으로는 살수에 이르게 함
72년에는 부족장인 달고를 파견하여 조나를 정벌함
121년 한나라의 요수현을 공격하여 서북면의 영토를 넓힘
중앙집권적 형태로 체제를 정비함
165년, 119세로 죽어 한국 역사상 가장 장수한 왕이 됨 ^^


^^7대 차대왕 (71년~165년)
태조왕의 동생.
121년 유주자사 풍환, 현도태수 요광, 요동태수 채풍 등이 고구려를 침범하자 군사를 이끌고 나가 이를 대파함
147년, 위 계승을 반대하던 우보 고복장을 죽이고, 148년 태조왕의 태자 막근마저 죽인 후 왕권을 확립하였으나, 횡포와 학정을 일삼아 백성들의 원성을 듣다가, 결국 명림답부에게 시해 당함 ^^

^^8대 신대왕 (165~179)
태조왕의 계제이며 어머니는 부여 사람.
둘째형인 차대왕이 포악무도하여 숨어 살던 중 차대왕이 명림답부에게 살해되자 좌보, 어지류 등의 추대로 77세에 즉위함
166년 좌·우보의 직제를 국상으로 고치고 명림답부를 이에 임명함
169년 한나라의 태수가 대군을 이끌고 침입해오자 스스로 항복함
170년 경림의 후임인 공손 탁을 도와 부산의 도적을 토벌함 ^^

^^9대 고국천왕 (179~197)
신대왕의 둘째 아들.
184년 한나라 요동태수의 침입을 막고 대승함
191년 을파소를 국상으로 등용하여 현정을 베품
194년 진대법을 실시하여 백성들의 빈곤을 덜어줌
왕위계승 방법을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으로 바꿈 ^^

^^10대 산상왕 (197∼227)
신대왕의 아들이며, 고국천왕의 동생.
208년에 서울을 환도(중국 퉁거우 지방)로 옮김
217년에 한나라 평주의 하요가 백성 1,000여 호를 거느리고 와서 항복했으므로 왕은 그들을 받아들여 지금의 중국 훈춘 지방인 책성에서 살도록 함 ^^

^^11대 동천왕 (227∼248)
산상왕의 아들.
236년 오나라 손권이 화친을 청해 왔으나 사신을 죽여 위나라에 보냄
242년에 중국과 낙랑군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인 서안평을 공격하다가 관구검의 반격을 받아 환도성이 함락되고, 남옥저로 피란함
이때 용장 밀우와 유유의 계책으로 적을 격퇴시켰으나, 환도성이 복구할 수 없을 만큼 파괴되어 247년에 수도를 동황성으로 옮김
248년에는 신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화친을 맺음 ^^

^^12대 중천왕 (248∼270)
동천왕의 맏아들.
동생 예물과 사구가 일으킨 반란을 평정함
259년 위나라의 장수 위지계의 침입군을 양맥곡에서 격퇴함 ^^

13대 서천왕 (270∼292)
중천왕의 둘째 아들.
280년 숙신이 내침하자 동생 달고를 보내어 이를 격퇴함
286년 반란을 도모한 동생 일우·소발 등을 주살함 ^^

^^14대 봉상왕 (292∼300)
서천왕의 태자.
백성들의 추앙을 받고 있던 숙부 안국군을 살해함
이듬해 동생 돌고마저 사사함
명신 창조리를 국상에 등용하여 연나라 모용의 침입을 격퇴함
300년 폐위되고, 후환이 두려워서 자결함 ^^

^^15대 미천왕 (300∼331)
서천왕의 손자.
큰아버지 봉상왕이 아버지를 죽일 때 민가에 숨어 화를 면함
국토 확장에 진력하여, 302년 군사 3만으로 현도군을 공격함
311년 요동 서안평을 점령함
313년 낙랑군을 공략, 낙랑군을 멸망시킴
314년 대방군을 정벌하여 영토로 삼음 ^^

^^
16대 고국원왕 (331∼371)
미천왕의 아들.
평양성을 증축하고 국내성을 쌓음
342년 환도성으로 천도한 뒤 수차례 연나라의 침입을 받음
343년 동생을 연나라에 파견, 조공을 바쳐 미천왕의 시체와 왕비를 찾음
355년 다시 조공하여 왕모를 찾아옴
369년 2만 군대로 백제를 공격하였으나 패함
371년 침입한 백제 근초고왕과 평양성에서 싸우다가 죽음 ^^

^^17대 소수림왕 (371∼384)
고국원왕의 아들.
전진과 평화적 관계를 수립하여 전진의 제도와 문화의 수입에 노력함
372년 최초로 불교를 수입하고 태학을 설립함
373년 처음으로 율령을 반포하여 고대국가 체제를 정비함
377년 3만 대군의 백제군 침공을 물리치고 백제의 북변을 역습함 ^^

^^18대 고국양왕 (384~391)
소수림왕의 아우. 광개토왕의 아버지.
385년 군사 4만으로 요동을 공격함
386년 백제를 정벌하여 국토를 넓힘
불교를 널리 펴뜨려 문화를 발전시킴
국사를 세우고 종묘를 수리하는 등 국가체제 확립에 이바지함 ^^

^^19대 광개토왕 (391∼413)
고국양왕의 태자.
소수림왕의 정치적 안정을 기반으로 최대의 영토를 확장함
백제의 북쪽을 진격하여서 석현 등 10성을 함락함
396년 친히 수군을 거느리고 백제를 정벌하여 58성을 차지함
400년 신라 내물왕의 요청으로 5만의 원군을 보내어 왜구를 격퇴함
407년 모용 희를 죽이고 자립한 고운과는 수교를 맺음
410년에는 동부여를 정벌하여 64성을 공파함으로써 철령 이북의 동부여가 고구려의 판도 안에 들게 됨
또한 남하하여 한강선까지 진출하고 서쪽으로 후연을 격파하고 요동지역을 확보함으로써 만주의 주인공으로 등장함 ^^

^^20대 장수왕 (413∼491)
광개토대왕의 맏아들.
즉위 초기 중국의 진·송·위나라 등에 사신을 파견하여 국교를 맺음
427년 만주 지방의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하여 적극적인 남하정책을 추진함
475년 친히 군대를 이끌고 백제를 공격하여 수도 한성을 함락함
480년 말갈의 군사와 함께 신라 북부를 공략하여 고명성 등 7성을 함락시켜 남으로는 아산만에서 동쪽의 죽령에 이르렀고, 북서쪽으로는 랴오허강 이동의 만주지방 대부분을 차지하여, 한국 역사상 최대의 제국을 건설함
내정개혁에도 힘을 기울여 부족제도를 지방행정제도로 고쳐 5부를 신설하는 등 고구려의 전성기를 이룩함^^

^^21대 문자왕 (491∼519)
장수왕의 손자.
494년 물길족에게 멸망한 부여의 왕과 그 일족의 투항을 받아들임
497년에 신라 우산성, 512년에 백제 가불성·원산성을 점령함
광개토왕이래 세력이 강해지기 시작하여 장수왕을 거쳐 문자왕에 이르는 동안 판도가 넓어지고, 세력은 강성해져 대국으로 발전함^^

^^22대 안장왕 (519~531)
이름은 흥안. 치세는 12년간.

^^23대 안원왕 (531~545)
이름은 보영. 치세는 14년간.

^^24대 양원왕 (545∼559)
안원왕의 맏아들.
동위·북제 등에 조공하여 친선을 도모함
547년 백암성·신성 등을 중수함
551년 돌궐의 침입을 격퇴하였으나, 신라·백제에게 한강 유역을 잃음

^^25대 평원왕 (559∼590)
양원왕의 태자
559년 즉위한 후 중국의 진·수·북제·후주 등 여러 나라와 수교함
일찍이 장수왕이 평양의 북동쪽 대성산성으로 국도를 옮긴 뒤 양원왕이 장안성(평양)에 대규모의 축성 공사를 시작한 것을 586년 완성시켜 장안성으로 천도함

^^26대 영양왕 (590∼618)
평원왕의 태자.
수나라와 화친을 꾀하다가 598년 말갈 군사 1만을 이끌고 요서를 선공, 전략적 요충 확보에 나섬
이에 수나라 문제가 30만 대군으로 침공하였으나 이를 격퇴함
600년 태학 박사 이문진에게 명하여 《유기》 100권을 재편수함
608년 신라의 변경을 습격, 우명산성을 함락함
612년 수나라 양제가 문제의 패전을 설욕하고자 113만 수륙군으로 쳐들어오자, 명장 을지문덕을 시켜 살수에서 적을 섬멸함

^^27대 영류왕 (618∼642)
영양왕의 이복동생.
당나라와 화친을 맺고 수나라 침공 때 포로가 된 이들을 찾아옴
631년 부여성으로부터 동남쪽 바다에 이르는 천리장성의 축조를 시작, 연개소문에게 역사의 감독을 맡겼으나 그의 반역으로 살해됨

^^28대 보장왕 (642∼668)
고구려의 마지막 왕.
영류왕을 시해한 연개소문의 추대로 왕위에 오름
645년 당나라 태종이 침입하였으나 연개소문이 독전, 격퇴함
661년 당나라 소정방이 신라군과 합세하여 평양성을 공격하였지만, 다음해 연개소문이 다시 격퇴함
668년 나·당연합군의 침입으로 평양성이 함락되고 당나라로 압송됨

^<>^이상, 도움이 되셨기를..^<>^

출처 : 2004네모사랑
글쓴이 : 7*진실*7 원글보기
메모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