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 645년, 당태종 이세민은 30만으로 고구려를 공격하지만 안시성에서 크게 패배하고 결국 고구려 원정을 포기한다. <연개소문>
1, 2회는 이 안시성 전투를 집중 조명하고 있다.
그리고 논란이 제기됐다. 그 어떤 사서도 안시성 전투에 연개소문이 있었음을 증명하는 기록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지적에 <연개소문>의 작가 이환경은 야사(野史)의 내용을 채택하긴 했지만 개연성이 있는 상상력이라고 이해를 구했다.
연개소문은 완벽한 영웅?
역사소설이나 사극에는 재미를 위해 종종 픽션이 동원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 픽션은 역사에 비추어볼 때 개연성을 확보해야 이해를 구할 수 있다.
드라마 <연개소문>의 경우,‘잃어버린 역사 연개소문’이 드라마의 설정에 힘을 실어주었다.
그러나 <연개소문>이 드러낸 문제점은 역사와 다른 그 설정이 아니었다. 작가의 말처럼 고구려와 당이 벌인 전쟁은 국가 간의 전면전(total war)이자 국제전이었다.
이런 전쟁에서 한 국가의 수장이 전투의 최전선에서 혈혈단신으로 적장들과 단기일전을 벌여 승리를 거둔다는 것은, 전문적인 군사지식의 차원이 아닌 상식 차원에서 납득되지 않는다.
이렇듯 영웅 연개소문의 완벽함에 대한 작가의 강조는 마치 잘난 자녀를 둔 팔불출 학부형처럼 도를 지나치고 있어 오히려 우스꽝스럽기조차 하다.
문제는 이런 영웅을 통해 ‘민족의 자긍심’을 선보이겠다는 작가의 의도에서 비롯된다.
국난 극복과 같은 역사적 사건 속에서 피어나는 민족적 자긍심은 사극의 주요 흥행요소 중 하나다.
하지만 1, 2회에서 무엇하나 흠 잡을 데 없는 완벽한 전쟁 영웅 연개소문이 펼쳐내는 무용담은 이것이 국가 간의 전면전쟁인지 이세민과 연개소문의 일대일 대결인지 구분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그리고 안시성주 양만춘, 온사문을 비롯해 당과 전쟁을 벌인 고구려 병사들은 그저 영웅 연개소문의 활약을 돋보이게 해주는 배경으로 치부될 뿐이다.
즉 <연개소문>의 문제점은 연개소문이 안시성에서 싸웠다는 것이 아니라 개연성 있는 스토리를 통해 시청자들로부터 동의를 구해야 할 부분인 ‘민족적 자긍심’을 거의 초인에 가까운 ‘연개소문’ 단 한 사람을 통해 일방적으로 시청자들에게 전달하려 한다는 것이다.
민족적 자긍심 일방적 전달
민족의 역사를 개인 혹은 소수의 영웅만으로 이해하는 것은 편협하며 위험하다. 표현방식 또한 군담 소설의 영웅담을 답습한 흥행요소들의 반복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과연 이런 구태의연한 영웅담 속에서 민족의 자긍심이 제대로 그 빛을 발할 수 있을지 빛바랜 자민족중심주의가 공허하게 메아리칠지 의문이 드는 1,2회였다.
그리고 논란이 제기됐다. 그 어떤 사서도 안시성 전투에 연개소문이 있었음을 증명하는 기록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지적에 <연개소문>의 작가 이환경은 야사(野史)의 내용을 채택하긴 했지만 개연성이 있는 상상력이라고 이해를 구했다.
연개소문은 완벽한 영웅?
역사소설이나 사극에는 재미를 위해 종종 픽션이 동원되기도 한다. 그리고 그 픽션은 역사에 비추어볼 때 개연성을 확보해야 이해를 구할 수 있다.
드라마 <연개소문>의 경우,
그러나 <연개소문>이 드러낸 문제점은 역사와 다른 그 설정이 아니었다. 작가의 말처럼 고구려와 당이 벌인 전쟁은 국가 간의 전면전(total war)이자 국제전이었다.
이런 전쟁에서 한 국가의 수장이 전투의 최전선에서 혈혈단신으로 적장들과 단기일전을 벌여 승리를 거둔다는 것은, 전문적인 군사지식의 차원이 아닌 상식 차원에서 납득되지 않는다.
이렇듯 영웅 연개소문의 완벽함에 대한 작가의 강조는 마치 잘난 자녀를 둔 팔불출 학부형처럼 도를 지나치고 있어 오히려 우스꽝스럽기조차 하다.
문제는 이런 영웅을 통해 ‘민족의 자긍심’을 선보이겠다는 작가의 의도에서 비롯된다.
국난 극복과 같은 역사적 사건 속에서 피어나는 민족적 자긍심은 사극의 주요 흥행요소 중 하나다.
하지만 1, 2회에서 무엇하나 흠 잡을 데 없는 완벽한 전쟁 영웅 연개소문이 펼쳐내는 무용담은 이것이 국가 간의 전면전쟁인지 이세민과 연개소문의 일대일 대결인지 구분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그리고 안시성주 양만춘, 온사문을 비롯해 당과 전쟁을 벌인 고구려 병사들은 그저 영웅 연개소문의 활약을 돋보이게 해주는 배경으로 치부될 뿐이다.
즉 <연개소문>의 문제점은 연개소문이 안시성에서 싸웠다는 것이 아니라 개연성 있는 스토리를 통해 시청자들로부터 동의를 구해야 할 부분인 ‘민족적 자긍심’을 거의 초인에 가까운 ‘연개소문’ 단 한 사람을 통해 일방적으로 시청자들에게 전달하려 한다는 것이다.
민족적 자긍심 일방적 전달
민족의 역사를 개인 혹은 소수의 영웅만으로 이해하는 것은 편협하며 위험하다. 표현방식 또한 군담 소설의 영웅담을 답습한 흥행요소들의 반복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과연 이런 구태의연한 영웅담 속에서 민족의 자긍심이 제대로 그 빛을 발할 수 있을지 빛바랜 자민족중심주의가 공허하게 메아리칠지 의문이 드는 1,2회였다.
출처 : 정PD의 서부로 달리는 방송이야기.
글쓴이 : 발해 5000 원글보기
메모 :
'낙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흉노, 선비, 물길 등 중국측 지도자료와 사이트 (0) | 2006.09.27 |
---|---|
[스크랩] ‘인문학 위기’ 출구는 없는가 (0) | 2006.09.26 |
[스크랩] 고대 사극 드라마 논란 - ‘주몽’ ‘연개소문’ ‘대조영’ ‘태왕사신기’ (0) | 2006.09.25 |
[스크랩] [미군기지터] 백년은 내다봐야… (0) | 2006.09.09 |
[스크랩] 명왕성에 대한 재조명 ㅡ 행성에서 제외 (0) | 2006.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