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옷을 숭상하여 백의민족이라고 불리웠던 한국인에 있어서 의관은 권위와 체면의 상징
이었다. 그래서 항상 의관(衣冠)을 제대로 갖추어 입어야 했고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관을 벗는 일이 없었다.
|
남자옷의 기본형은 바지, 저고리에 포(袍)를 입고 갓을 쓴 형태이다. 남자 갓은 초기에는 상류층에서만 착용하였으나 중기에 천민을 제외한 일반인 모두가 썼다. |
종 류 |
설 명 |
사 진 |
적 삼 |
|
|
바 지 |
|
|
갓 |
|
|
신 발 |
<짚신>
<나막신> |
|
|
여자옷은 치마, 저고리이지만 고려시대 이전에는 바지도 입었다. 치마, 저고리의 모습은 |
종 류 |
설 명 |
사 진 |
적 삼 |
|
|
저고리 |
|
|
치 마 |
|
|
족두리 |
|
|
빗 |
|
|
물 레 |
|
|
다듬이질 |
도구로는 다듬이돌과 다듬이방망이, 홍두깨를 사용한다. |
|
골 무 |
|
|
우리 나라는 남북으로 길고 동서로 좁아 기후에 차이가 있으며, 지형상으로도 북부는산간 지대인 반면 남부는 큰 강을 중심으로 평야가 넓게 펼쳐져 있어 지역마다 특징있는 음식들이 발달하였다. |
|
종 류 |
설 명 |
사 진 |
상 |
|
|
수 저 |
|
|
도시락 |
|
|
키 |
|
|
조리 |
|
|
주걱 |
|
|
국자 |
|
|
돌솥 |
|
|
나무절구 |
|
|
맷돌 |
|
|
떡살 |
|
|
싸리독 |
|
|
나무쌀동 |
|
|
국수틀 |
|
|
인류는 지구상에 살게 되면서부터 맹수와 추위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주거를 마련하여 생활하고 있다. 구석기 시대에는 자연동굴과 바위틈 등 자연적인 지형을 이용하였고, 신석기 시대에는 반지하 구조인 수혈식 주거가 발달하였으며, 적어도 삼국시대에 들어서는 지상에 가옥을 짓고 살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
종 류 |
설 명 |
사진 |
등잔 |
|
|
목침 |
|
|
문발 |
|
|
죽부인 |
|
|
요강 |
|
|
제등 |
|
|
화로 |
|
|
초롱 |
|
|
쥘 |
|
|
곱장선 |
|
|
토시 |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