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의미의 공간
  • 자연과 인간
우리가락

국악사연표

by 8866 2008. 10. 24.

 

 

 국악사연표  
 
  
 
1994 문화체육부 지정 국악의 해
1993 한국국악교육협의회 결성 
1990 서울과 평양에서 남북음악제 개최 
1981 세계 민속음악학회(IFMC)총회 서울개최
서울대회에서 세계 전통음악학회(ICTM)로 개칭 
1981 제1회 대한민국 국악제 
1981 국립국악원 주최 제1회 전국국악경연대회 개최 
1975 사단법인 한국국악교육연구회 발족 
1972 국악사 양성소가 국악고등학교로 승격
1971 제1회 판소리 유파발표회 
1969  박동진 판소리 <춘향가> 8시간 완창
1965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창설
국악기 개량연구위원회 발족 
1964  사단법인 한국국악학회 출범
국립국악원 최초 해외연주
1960  국악예술학교 창설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4회 국제민속예술제에 한국민속예술단 참가 
1959 서울대학교 국악과 창설 
1955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 양성소 창설 
1951 국립국악원 창설 
 
1947 조선정악전습소가 사단법인 한국정악원으로 재출범 
1945 대한국악원 결성 
1941 조선음악협회 결성 
1933 조선성악연구회 발족 
1917 이왕직아악부원 양성소 창설 
1910 조양구락부를 조선정악전습소로 개칭하고 본격적인 활동 개시 
1909 최초의 음악교육기관 조양구락부 창립 
1893 가야금 명인 강태홍 (1893- 1957) 탄생 
1891 대금명인 김계선 (1891- ?) 탄생 
1871 판소리 명창 김창룡 (1871-1935) 탄생 
1865 가야금 명인 김창조 (1865-1919) 탄생 
1863 가객 하규일 탄생 (1863- 1937) 
1854 판소리 명창 김창환 (1854-1927) 탄생
1850 가야금 명인 한숙구 (1850-1925) 탄생 
1788  거문고 악보 『낭옹신보』 발간
1771 판소리 명창 권삼득 (1771-1841) 탄생 
1763 김수장의 노래책 『해동가요』 간행 
1759 악보 『대악전보』, 『대악후보』 간행 
1728  김천택의 노래책 『청구영언』 간행 
1696 이세필의 『악원고사』 간행 
1620 이득윤(1553-1630) 『현금동문류기』 간행 
1572 거문고 악보 『금합자보』 간행 
1493  조선조 음악을 집대성한 『악학궤범』간행 
1464  세종 작곡인 <정대업>, <보태평>을 다듬어 종묘제례악으로 채택함 
1445-1447  최초의 유량악보 정간보 창안 
1445 <용비어천가>를 노래하는 <치화평>, <취풍향>, <여민락>, <발상> 작곡 
1433 아악으로 연주하는 회례악(會禮樂) 초연 
1430  완비된 아악을 시연함
아악보(雅樂譜) 완성
1426 박연이 아악 연주현황과 개선안을 제안함에 따라 아악정비 작업이 시작됨 
1419 <하황은> 작
1406 명나라에서 아악기를 구해오다. 
1402 예조와 의례상정소에서 연례에 사용되는 음악을 제정 
1393 조선  <몽금척>, <수보록> 연주 
 
1391 아악서를 두고 종묘악가를 익히게 함
1389 십학(十學)에 악학(樂學)을 둠 
1378 박연 탄생(1378-1458) 
1370 명나라에서 아악기를 보내옴 
1151  겨울 나례(儺禮)에서 정서가 <정과정곡> 작곡
1116 송나라에서 아악기, 아악보, 의물 등을 보내와 최초로 아악을
연주하기 시작하다.
1114 송나라에서 새로 제정한 연향악(大晟新樂)의 악기, 악보 등을 보내와
고려에서 연주하다.
1078 송나라 사신이 고려에 오면서 박판, 적, 피리 등을 예물로 가져옴 
1073 연등회, 팔관회에서 당악정재 <답사행가무>, <구장기별기>, <포구락>
등을 연행함 
1053 궁정 음악인 중에 자제 3-4인이 있을 경우 그 중 하나가
음악인의 업을 잇게 함 
1010 중단하였던 연등회를 다시 시작 
918 고려 국중대회인 팔관회를 거행 
 
888 대구화상의 향가집 『삼대목(三代目)』 간행 
861-874  옥보고(玉寶高)가 거문고 곡을 짓고, 제자들에게 거문고를 가르쳐
통일신라에 거문고 음악이 널리 퍼지게 됨
830 진감대사가 당에서 배워온 범패를 하동의 쌍계사에서 가르치기 시작
756 신라의 가야금, 백제의 관악기 등을 일본 동대사(東大寺)에 보냄 
681-691  동해 상에 떠오른 작은 산에서 대를 베어 젓대를 만들고
이를 만파식적(萬波息笛)이라 명명 
673 통일신라  김유신이 별세했을 때 임금이 군악고취 100여명을 보냄 
651 신라  원효의 <무애가> 
612 백제 백제인 미마지(味麻之)가 일본에 기악무(伎樂舞)를 전함 
6세기 가야  가야의 가실왕이 가야금을 만들고 악사 우륵(于勒)이 가야금을 위해 작곡함 
589-600 고구려  고구려 음악이 중국 수(隋)나라의 궁정에서 7부기의 하나로 연주됨 
554 백제  일본에 파견된 백제 음악인이 본국의 음악인과 교대하기를 청하다.
551 신라  우륵이 신라로 망명하여 진흥왕 앞에서 연주 
458-479 신라 백결선생이 아내를 위해 금곡(琴曲) 방아타령 작곡
453 신라  일본 윤공천황(允恭天皇)이 별세하여 신라에서 음악인 80인을 파견 
417-457 신라  <우식악> 연주 
4세기 고구려  왕산악(王山岳)이 중국에서 보내온 칠현금을 개조하여 거문고로 만들고,
이를 위해 100여곡의 작품을 작곡 
196-229 신라  물계자(勿稽子)가 금곡(琴曲) 작곡 
28 신라  민속환강(民俗歡絳)하여 <도솔가>를 짓다.
8월 보름에 가무백희(歌舞百戱)로 가배놀이를 하며 <회소곡>을 부름 
 
마한  5월과 10월에 제천하고 무리지어 가무(歌舞)
예  10월에 가무로 하늘에 제사하는 무천(舞天)을 거행
부여  정월 제천(祭天) 에 국중대회 (迎鼓)를 거행 
고구려 10월 가무로 하늘에 제사하는 동맹(東盟)을 거행 
 

댓글